제비동자꽃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다. 아래는 제비동자꽃의 육하원칙.
Who?
나는 제비동자꽃. 학명은 Lychnis wilfordii (Regel) Maxim.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야. 현재 국가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기(EN)로 평가돼 있어.
When?
7~8월경 꽃이 피고 9~10월에 결실을 맺어.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돼 계속 보호되고 있어. 10여 년 전 국립수목원에서 자생지 복원 소식이 알려지기도 했어.
Where?
나는 공중습도가 높은 반그늘을 좋아해. 주로 높은 산 습지에서 드물게 서식해. 강원도 인제군, 평창군의 높은 산 습지에 분포하는데 총 10곳 미만에서만 확인됐어. 전체 300개체 미만으로 추정될 만큼 희귀식물이야. 해외에선 몽골, 중국, 러시아, 일본 등지에 분포해.
What?
나는 동자꽃처럼 생겼지만 꽃잎의 형태가 제비 꼬리처럼 길고 깊게 갈라져서 제비동자꽃이라고 이름 붙었어. 북동자꽃, 비단가위꽃, 화씨전추라, 사판전추라로도 불려. 동자꽃에 비해서 꽃잎 끝이 잘게 갈라져 깃 모양이야. 색깔도 더 진하고 잎도 더 가늘어서 구분돼.
How?
키는 45~100cm야.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해. 잎은 마주나는데, 피침형으로 길이는 3~12cm야. 진한 홍색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꽃잎은 5장으로 4갈래로 가늘게 갈라져. 열매는 삭과야.
Why?
기후변화로 자생 환경이 급속도로 악화됐어. 습지 개발과 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서식처 환경 변화도 위협 요인이야. 무엇보다 꽃이 화려하고 예쁘다는 이유로 관상을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남획하는 게 너무 고통스러워.
지구에 사는 식물의 40%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알려진다.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 역할 하는 식물의 멸종은 동물이 사라지는 원인이기도 하다. <식물의 육하원칙>에서는 매주 일요일 국내외 멸종위기 식물을 하나씩 소개한다. 이번 주는 개발과 남획으로 고통 받고 있는 ‘제비동자꽃’이다. [편집자주]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식물의 육하원칙] 갈대에 기대 살아가는 ‘선제비꽃’
- [식물의 육하원칙] 무분별한 채취로 사라져가는 ‘탐라란’
- [식물의 육하원칙] 석회암 지대에 올망졸망 핀 ‘산분꽃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 [식물의 육하원칙] 벼랑 끝에서 꽃 피는 ‘섬개야광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발견되자마자 멸종위기에 처한 ‘털북숭이 악마’
- [식물의 육하원칙] 난초과 중 가장 크고 화려한 ‘광릉요강꽃’
- [펭귄수첩] ‘아는 시간’을 가지자
- [식물의 육하원칙] 구름 지난 자리에 피는 ‘구름병아리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뜨거운 햇살·거친 바람 속에 사는 ‘날개하늘나리’
- [식물의 육하원칙] 잎 없는 예쁜 난초 ‘대흥란’
- [식물의 육하원칙] 뾰족하고 긴 열매 맺는 ‘큰바늘꽃’
- [식물의 육하원칙] 백록담 돌밭에 사는 '한라솜다리'
- [식물의 육하원칙] 누구보다 가장 작고 예쁜 ‘각시수련’
- [식물의 육하원칙] 흰 새가 날아가듯 피어나는 ‘해오라비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무 ‘암매’
- [식물의 육하원칙] 국내 자생 유일 상록성 콩과식물 ‘만년콩’
- [식물의 육하원칙] 백두대간 석회암 지대 ‘가는대나물’
- [식물의 육하원칙] 흰 새가 날아가듯 피어나는 ‘해오라비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누구보다 가장 작고 예쁜 ‘각시수련’
- [식물의 육하원칙] 백록담 돌밭에 사는 '한라솜다리'
- [식물의 육하원칙] 뾰족하고 긴 열매 맺는 ‘큰바늘꽃’
- [식물의 육하원칙] 잎 없는 예쁜 난초 ‘대흥란’
- [식물의 육하원칙] 뜨거운 햇살·거친 바람 속에 사는 ‘날개하늘나리’
- [식물의 육하원칙] 구름 지난 자리에 피는 ‘구름병아리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새 꼬리 모양 꼭 닮은 '제비동자꽃'
- [식물의 육하원칙] 갈대에 기대 살아가는 ‘선제비꽃’
- [식물의 육하원칙] 무분별한 채취로 사라져가는 ‘탐라란’
- [식물의 육하원칙] 석회암 지대에 올망졸망 핀 ‘산분꽃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 [식물의 육하원칙] 벼랑 끝에서 꽃 피는 ‘섬개야광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발견되자마자 멸종위기에 처한 ‘털북숭이 악마’
- [식물의 육하원칙] 난초과 중 가장 크고 화려한 ‘광릉요강꽃’
- [식물의 육하원칙] 한국에만 나타나는 봄의 전령 ‘변산바람꽃’
- [식물의 육하원칙] 논 좋아하는 수생식물 ‘매화마름’
- [식물의 육하원칙] 혼령을 부르는 나무 ‘초령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