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곽은영 기자] 산분꽃나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다. 아래는 산분꽃나무의 육하원칙.
Who?
나는 산분꽃나무야. 학명은 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er. 산분꽃나무과 낙엽성 떨기나무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이자 국가생물적색목록 준위협(NT)으로 평가되고 있어.
When?
5~6월에 가지 끝에서 흰색 꽃을 피우고 열매는 9~10월에 홍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해.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돼 계속 보호되고 있어.
Where?
나는 주로 석회암 지대 산지나 계곡 가장자리 등 양지바른 산허리에서 다른 관목들과 함께 자라. 국내에선 경기도 연천군, 강원도 평창군과 설악산 등에 산다고 알려졌는데 최근 그 밖에 다른 지방에서도 소수 확인되고 있어. 해외에선 러시아 극동지방, 몽골,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 분포해.
What?
내 이름만 보면 분꽃나무와 무척 가까워 보이지만 같은 과, 같은 속일 뿐 큰 연관성은 없어. 나는 분꽃나무에 비해 잎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 톱니가 촘촘하고 꽃부리의 통부가 아주 짧거든. 꽃이 흰색인 점도 달라. 분꽃나무는 향긋하고 진한 분 내음이 나는 꽃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건데 나는 그런 짙은 향기가 없어.
How?
키는 2~3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 줄기는 암회색이고 어린 가지에 별 모양의 털이 나.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야.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어. 잎 앞면에 털이 조금 나고 뒷면 잎맥 위에 털이 많다가 점차 사라져. 흰색 꽃은 새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열매는 핵과로 길이는 1cm 정도야.
Why?
지리적으로 워낙 좁은 곳에 살고 있는 데다 개체수도 적은데 원예를 목적으로 한 무분별한 채취로 위협을 받고 있어.
지구에 사는 식물의 40%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알려진다.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 역할 하는 식물의 멸종은 동물이 사라지는 원인이기도 하다. <식물의 육하원칙>에서는 매주 일요일 국내외 멸종위기 식물을 하나씩 소개한다. 이번 주는 우리나라 희귀식물 ‘산분꽃나무’이다. [편집자주]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식물의 육하원칙]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 [식물의 육하원칙] 벼랑 끝에서 꽃 피는 ‘섬개야광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발견되자마자 멸종위기에 처한 ‘털북숭이 악마’
- [식물의 육하원칙] 난초과 중 가장 크고 화려한 ‘광릉요강꽃’
- [식물의 육하원칙] 한국에만 나타나는 봄의 전령 ‘변산바람꽃’
- [식물의 육하원칙] 논 좋아하는 수생식물 ‘매화마름’
- [식물의 육하원칙] 무분별한 채취로 사라져가는 ‘탐라란’
- [식물의 육하원칙] 갈대에 기대 살아가는 ‘선제비꽃’
- [식물의 육하원칙] 새 꼬리 모양 꼭 닮은 '제비동자꽃'
- [식물의 육하원칙] 구름 지난 자리에 피는 ‘구름병아리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뜨거운 햇살·거친 바람 속에 사는 ‘날개하늘나리’
- [식물의 육하원칙] 잎 없는 예쁜 난초 ‘대흥란’
- [식물의 육하원칙] 흰 새가 날아가듯 피어나는 ‘해오라비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누구보다 가장 작고 예쁜 ‘각시수련’
- [식물의 육하원칙] 백록담 돌밭에 사는 '한라솜다리'
- [식물의 육하원칙] 뾰족하고 긴 열매 맺는 ‘큰바늘꽃’
- [식물의 육하원칙] 잎 없는 예쁜 난초 ‘대흥란’
- [식물의 육하원칙] 뜨거운 햇살·거친 바람 속에 사는 ‘날개하늘나리’
- [식물의 육하원칙] 구름 지난 자리에 피는 ‘구름병아리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새 꼬리 모양 꼭 닮은 '제비동자꽃'
- [식물의 육하원칙] 갈대에 기대 살아가는 ‘선제비꽃’
- [식물의 육하원칙] 무분별한 채취로 사라져가는 ‘탐라란’
- [식물의 육하원칙] 석회암 지대에 올망졸망 핀 ‘산분꽃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 [식물의 육하원칙] 벼랑 끝에서 꽃 피는 ‘섬개야광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발견되자마자 멸종위기에 처한 ‘털북숭이 악마’
- [식물의 육하원칙] 난초과 중 가장 크고 화려한 ‘광릉요강꽃’
- [식물의 육하원칙] 한국에만 나타나는 봄의 전령 ‘변산바람꽃’
- [식물의 육하원칙] 논 좋아하는 수생식물 ‘매화마름’
- [식물의 육하원칙] 혼령을 부르는 나무 ‘초령목’
- [식물의 육하원칙] 하늘 아래 가장 높은 곳에 사는 ‘가문비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유일하게 제주서만 나고 자라는 ‘제주고사리삼’
- [식물의 육하원칙] 10년 만에 한번 피는 ‘시체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