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솜다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이다. 아래는 한라솜다리의 육하원칙.
Who?
내 이름은 한라솜다리. 학명은 Leontopodium coreanum var. hallaisanense(Hand.–Mazz.) D.H. Lee & B.H. Choi. 국화과 솜다리속의 여러해살이풀이야. 제주도 한라산 정상부에서만 사는 우리나라 특산종이야.
When?
6월에 꽃이 피고 8~9월에 민들레 씨처럼 갓털이 달린 타원형의 열매가 달려.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지정되었다가 2017년 Ⅰ급으로 바뀌었어.
Where?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한라산 해발 1500m 이상 바위 지대에서 살아. 한라산 백록담 남사면의 급경사 암벽지대와 풀밭에서 드물게 소수의 개체가 확인되고 있어.
What?
한라산에서만 사는 솜다리라고 해서 한라솜다리라고 불려. 내가 다른 국화과 식물들과 다른 점은 씨앗이 바람에 날려 멀리 이동하기 적합하지 않다는 거야. 다른 솜다리류와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키가 작고 잎도 타원형으로 넓어서 모양에서 차이가 나. 나는 중국과 동아시아 지역 식물을 주로 연구한 오스트리아 식물학자 하인리히 폰 헨델-마제티(Heinrich von Handel-Mazzetti)가 처음으로 학계에 신종이라고 알렸어.
How?
키가 10~15cm까지 자라고 줄기는 회백색 솜털로 덮여 있어. 뿌리에서 나온 잎은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잎 양면에 털이 있는데, 특히 뒷면에 더 많아. 꽃은 줄기 끝에 노란빛이 도는 흰색으로 피는데 해바라기나 코스모스 같은 다른 국화과처럼여러 개의 꽃이 줄기 끝에 촘촘하게 모여 달려. 5~9개의 통꽃이 모여 머리모양꽃차례를 이루고 머리모양꽃차례 5~8개 모여 산방꽃차례를 이루지. 꽃싸개잎은 잎처럼 생겼는데 역시 양면이 흰털로 덮여 있어. 열매는 익어도 껍질이 갈라지지 않는 형태인 수과로 표면에 돌기가 빽빽하게 나 있어.
Why?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해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지만, 고산지대에 고립된 형태로 분포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분포범위가 축소될 우려가 있어. 복원을 통한 도입 성공률도 낮은 편이야. 서식처 분포가 매우 제한적인 데다 불법채취로 위협 받고 있어. 이런 이유로 현재 국가생물적색목록 멸종우려범주인 위급(CR)으로 평가되고 있어.
지구에 사는 식물의 40%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알려진다.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 역할 하는 식물의 멸종은 동물이 사라지는 원인이기도 하다. <식물의 육하원칙>에서는 매주 일요일 국내외 멸종위기 식물을 하나씩 소개한다. 이번 주는 기후변화로 분포범위가 축소되고 있는 ‘한라솜다리’이다. [편집자주]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식물의 육하원칙] 뾰족하고 긴 열매 맺는 ‘큰바늘꽃’
- [식물의 육하원칙] 잎 없는 예쁜 난초 ‘대흥란’
- [식물의 육하원칙] 뜨거운 햇살·거친 바람 속에 사는 ‘날개하늘나리’
- [식물의 육하원칙] 구름 지난 자리에 피는 ‘구름병아리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새 꼬리 모양 꼭 닮은 '제비동자꽃'
- [펭귄수첩] ‘아는 시간’을 가지자
- [식물의 육하원칙] 누구보다 가장 작고 예쁜 ‘각시수련’
- [식물의 육하원칙] 흰 새가 날아가듯 피어나는 ‘해오라비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백두대간 석회암 지대 ‘가는대나물’
- [식물의 육하원칙] 국내 자생 유일 상록성 콩과식물 ‘만년콩’
- [식물의 육하원칙]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무 ‘암매’
- [식물의 육하원칙] 상록수에 붙어 사는 제주 난초 ‘비자란’
- [식물의 육하원칙] 사라져가는 한반도 고유종 ‘노랑붓꽃’
- [식물의 육하원칙] 향기와 아름다움 때문에 사라지는 ‘한란’
- [식물의 육하원칙] 절멸됐지만 다시 살아난 ‘물고사리’
- [식물의 육하원칙] 먹으면 잠 쏟아지는 ‘조름나물’
- [식물의 육하원칙] 사라져가는 한반도 고유종 ‘노랑붓꽃’
- [식물의 육하원칙] 상록수에 붙어 사는 제주 난초 ‘비자란’
- [식물의 육하원칙]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무 ‘암매’
- [식물의 육하원칙] 국내 자생 유일 상록성 콩과식물 ‘만년콩’
- [식물의 육하원칙] 백두대간 석회암 지대 ‘가는대나물’
- [식물의 육하원칙] 흰 새가 날아가듯 피어나는 ‘해오라비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누구보다 가장 작고 예쁜 ‘각시수련’
- [식물의 육하원칙] 백록담 돌밭에 사는 '한라솜다리'
- [식물의 육하원칙] 뾰족하고 긴 열매 맺는 ‘큰바늘꽃’
- [식물의 육하원칙] 잎 없는 예쁜 난초 ‘대흥란’
- [식물의 육하원칙] 뜨거운 햇살·거친 바람 속에 사는 ‘날개하늘나리’
- [식물의 육하원칙] 구름 지난 자리에 피는 ‘구름병아리난초’
- [식물의 육하원칙] 새 꼬리 모양 꼭 닮은 '제비동자꽃'
- [식물의 육하원칙] 갈대에 기대 살아가는 ‘선제비꽃’
- [식물의 육하원칙] 무분별한 채취로 사라져가는 ‘탐라란’
- [식물의 육하원칙] 석회암 지대에 올망졸망 핀 ‘산분꽃나무’
- [식물의 육하원칙]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 [식물의 육하원칙] 벼랑 끝에서 꽃 피는 ‘섬개야광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