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권고는 기후변화 대응이 국가 의무임을 명확히 한 첫 공식 견해다. 앞으로 국내외 소송에서 중요한 명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헌재 판례까지 있어 국제 권고와 결합하면 책임이 더 무겁게 작용할 것이다.”
엄예은 미국 뉴욕주 변호사. 국제사법재판소 관련 <뉴스펭귄>취재에 응하면서.
“지구 면적의 30%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자는 ‘30x30 목표’ 달성 시한이 5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생물다양성협약 등 국제 기준에 맞춰 생태계 보전에 적극 나서야 한다.”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생물다양성 법안 개정 토론회에서.
“1년 전 오늘, 우리는 법정에서 웃었다. 우리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목소리가 드디어 헌법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년 동안, 나는 실망했다. 내 눈에 비친 지난 1년은 우리의 미래가 철저히 외면당한 시간이었다. 지난 1년 동안 정부와 국회는 그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
김한나 성남 당촌초등학교 학생. 기후 헌법소원 헌재 결정 1주년 기자회견에서
“기후위기야 말로 인류사회가 직면한 실존적 위기다. 앞으로도 유엔 등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며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의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다.”
금한승 환경부 차관. 유엔사무총장 기후행동 특보를 만나면서.
“강화되는 환경 규제 속에서 항만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하역장비의 친환경 전환이 중요하다. 이번 지원사업이 마중물이 되어 친환경 항만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국내 항만장비 산업이 성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무탄소 하역장비 보급 관련 보도자료에서.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멸종·기후 콕콕] “고래와 파충류 30종 넘게 갇혀 있다”
- [멸종·기후 콕콕] “인간 삶과 무관한 자연은 없다”
- [멸종·기후 콕콕] "기후위기 해결, 마을과 도시에서 시작할 수 있다"
- [멸종·기후 콕콕] “인류, 지구가열화 넘어 기후재난 시대에 산다”
- [멸종·기후 콕콕] “국가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의무 있다”
- [멸종·기후 콕콕] “이제는 어른 교육 해야 할 때”
- [멸종·기후 콕콕] “친환경, 사회적 책무 아닌 생존 문제”
- [멸종·기후 콕콕] “우리 지구, 세계 각지에서 파괴 중”
- [멸종·기후 콕콕] “재생에너지 10% 남짓, OECD 최하 수준”
- [멸종·기후 콕콕] “컵 40개 반납해야 1잔 무료...보상 수준 낮아”
- [멸종·기후 콕콕] “해양생물 서식 환경 파괴 여전히 심각”
- [멸종·기후 콕콕] “강 속 미세플라스틱 109,000,000톤”
- [멸종·기후 콕콕] “살기 위해선 다른 생명을 먹어야 한다”
- [멸종·기후 콕콕] 누가 이 생명들의 삶을 위협하나
- [멸종·기후 콕콕] “폐업한 개농장에 남은 생명들 어떻게?”
- [멸종·기후 콕콕] “새끼 출산 이후 장마철에는 폐사 위험 높아져”
- [멸종·기후 콕콕] “인간의 서식지 면적을 줄이는 거예요”
- [멸종·기후 콕콕] “기후변화로 황제펭귄 번식·생존 심각한 영향”
- [멸종·기후 콕콕] “수달 만나면, 자리 비켜주세요”
- [멸종·기후 콕콕] “재난 동물 구호·대피 대책 법 만들자”
- [멸종·기후 콕콕] “법 개정 통해 장기 탄소감축 경로 설계해야”
- [멸종·기후 콕콕] “기후위기, 건강·안전 권리 직접 침해”
- [멸종·기후 콕콕] “해양쓰레기, 제대로 관리되는 곳 10% 미만”
- [멸종·기후 콕콕] “한국 조기 탈석탄, 전 세계 강력한 신호될 것”
- [멸종·기후 콕콕] “몇 년째 문제 제기해도 기업은 안 변해”
- [멸종·기후 콕콕] “전자폐기물 77.7% 미처리...유해물질이 생태계 위협”
- [멸종·기후 콕콕] “골프 인구 늘었지만, 당국 농약관리 여전히 허술”
- [멸종·기후 콕콕] “자연은 인위적으로 보여주는 존재 아니다”
- [멸종·기후 콕콕] “0.1% 부자, 하위 50% 1년치 탄소 하루에 배출”
- [멸종·기후 콕콕] “정부, 기후정책 방향과 책임에 대한 인식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