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김새 및 생태특징
멸종위기 야생동물 Ⅱ급이다. 바다표범 중 가장 작다. 몸길이는 수컷이 150~170㎝이며 암컷 이 140~160㎝이다. 갓 태어난 새끼는 80~90㎝ 내외다. 몸무게는 수컷이 85~110㎏, 암컷이 65~115㎏, 갓 태어난 새끼는 7~12㎏이다. 몸 색깔은 회색과 황갈색이며 검은색과 흰색 점무늬가 있다. 몸에 나 있는 반점이 개체마다 다르고 사람의 지문처럼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다. 점무늬를 통해 개체 식별이 가능하다. 물범의 피부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방수와 보온을 위해 1년에 한 번 이상 털갈이를 한다. 번식기 때 수컷이 여러 마리의 암컷을 거느린다. 2~4월 사이에 떠다니는 얼음 위에서 출산한다.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는 얼음과 눈 등 주변 환경과 비슷한 흰색 털이 온몸을 덮고 있다. 포식자로부터 보호색 기능을 한다. 검은 반점은 자라면서 생긴다.
△ 서식지
겨울부터 초여름 사이에는 떠다니는 얼음이 있는 수역에, 늦은 여름부터 가을에는 연안과 강 하구에 분포한다. 국내에는 전국 해안에 고루 분포하나 주로 백령도 근해에 나타난다. 세계적으로 북태평양, 러시아 캄차카, 일본 홋카이도, 미국 캘리포니아 알류샨 해역에 분포한다.
△ 먹이
명태, 청어, 대형 플랑크톤 등을 잡아먹는다.
△ 멸종 위험요소
산업개발로 인한 환경오염, 관광기 개발, 어민들의 어류 남획으로 인한 먹이 부족 등이 있다. 중국에서 약재로 쓰거나 가죽을 얻기 위해 상당수가 밀렵당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서식지인 얼음이 녹고 있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낮에는 얌전, 밤 되면 '텐션 업' 되는 금빛 머릿결의 정체는?
- 관능적인 '머스크향'으로 멸종위기... ‘사향노루(Musk Deer)'
- 제주도의 보물, 연약하고 고운 ‘비바리’
- '그대에게 행운을' 가시연꽃
- 똥을 굴려 생태 순환... 연금술사 '소똥구리'
- 주걱 모양의 독특한 부리 ‘저어새’
- 든든한 숲의 파수꾼 '반달가슴곰'
- 한반도 특산종인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 '팔색조 매력'의 진짜 주인공 "나야 나"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
- 맑고 깨끗한 물에서 사는 ‘순채’
- 꽃 잎 뿌리 모두 흰색인 '삼백초'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동물 ‘무산쇠족제비’
- 깽~깽~깽 우는 ‘수원청개구리’
- 용맹의 상징 '검독수리'
- 50년 만에 다시 나타난 '작은관코박쥐'
- 공룡을 꼭 닮은 거대한 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
- 한국의 도마뱀 '표범장지뱀'을 아시나요?
- 한국 전설에 단골로 등장하는 뱀 ‘구렁이’
- 중국 양쯔강에서만 사는 신비한 동물 '양쯔강돌고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