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김새 및 생태특징: 멸종위기 야생동물 Ⅱ급에 속한다. ‘작다’라는 의미에서 ‘쇠’가 붙었다. 몸길이 16㎝, 꼬리길이 4㎝, 체중 70g 정도이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동물이다. 전체적으로 갈색을 띤다. 겨울에는 흰색으로 털갈이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국은 위도가 낮아 겨울철에도 갈색 털을 유지한다. 발톱이 날카로우나 가늘다. 터널을 파는 대신 쥐류의 터널을 빼앗아 생활한다. 동작이 민첩하고 후각, 청각, 시각이 발달했다.
일부다처제로 몸집이 큰 수컷을 선호한다. 번식기는 3월부터 7월까지 이어진다. 임신 기간은 34~37일 정도이며 보통 4~6마리를 낳는다. 성장이 빠르다. 암컷의 경우, 태어난 지 3개월이 지나면 번식이 가능하다. 수명이 평균 1년 정도로 짧다.
△ 서식지: 주로 1000m 이상 고산 지대에서 서식하나 가끔 인가 근처에서도 발견된다. 국내에서는 북한의 함경북도 무산을 포함하여,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다. 특히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 경상북도 청도, 경기도 성남, 지리산 등지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국외에서는 러시아, 일본, 유럽, 중국, 미국, 캐나다에 분포한다.
△ 먹이: 생쥐를 비롯한 소형 설치류를 잡아먹는다. 보통 한 마리가 1년에 2000~3000마리의 쥐를 잡아먹는다. 때에 따라 두더지, 다람쥐, 소형조류, 어린 토끼까지 사냥한다.
△ 멸종 위험요소: 모피를 위한 남획 및 서식지 파괴.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디지털 멸종도감 기사
- '그대에게 행운을' 가시연꽃
- 똥을 굴려 생태 순환... 연금술사 '소똥구리'
- 주걱 모양의 독특한 부리 ‘저어새’
- 든든한 숲의 파수꾼 '반달가슴곰'
- 한반도 특산종인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 '팔색조 매력'의 진짜 주인공 "나야 나"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
- 맑고 깨끗한 물에서 사는 ‘순채’
- 꽃 잎 뿌리 모두 흰색인 '삼백초'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동물 ‘무산쇠족제비’
- 깽~깽~깽 우는 ‘수원청개구리’
- 용맹의 상징 '검독수리'
- 50년 만에 다시 나타난 '작은관코박쥐'
- 공룡을 꼭 닮은 거대한 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
- 한국의 도마뱀 '표범장지뱀'을 아시나요?
- 한국 전설에 단골로 등장하는 뱀 ‘구렁이’
- 중국 양쯔강에서만 사는 신비한 동물 '양쯔강돌고래'
- 한국의 논이나 하천에서 사는 민물거북 '남생이'
- 밤이면 반딧불처럼 빛나는 '화경버섯'
- '한국 하천의 귀요미' 수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