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김새 및 생태특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자포동물이다. 표면에 돌기가 있어서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자포 속에서 뭉쳐 있던 작살 모양의 자사(刺絲)가 폭발하듯 발사돼 상대를 마비시킨다. 금빛 꽃다발같이 독특한 모양 때문에 ‘오렌지 컵 산호(Orange Cup Coral)’로도 불린다. 나무모양의 군체를 이루며 지름 14㎝까지 이른다. 산호초는 없다. 높이 5.5~6.3㎝, 두께 5.8~7.3㎝이다. 폴립(산호를 이루는 말미잘 모양의 각 개체)은 원통형이며 촉수가 빙 둘려 있다. 금빛 촉수는 6배수로 자라는 특징이 있다. 다른 돌산호와 달리 공생 조류의 도움 없이 자생한다. 낮에는 촉수를 오므리고 있으므로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 밤이 되면 촉수를 활짝 펴서 작은 동물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자생하기 때문에 성장 속도도 더 늦다.
△ 서식지: 수심 5~20ⅿ 암반에 부착한다. 주로 그늘지는 암초의 급경사면, 해저 동굴, 난파선 등에서 발견된다. 물이 맑고 따뜻하고 유속이 빠른 청정해역에서만 서식한다. 국내에는 제주도 연안에서만 발견된다. 해외에는 일본, 서대서양, 인도양 및 태평양 근처 열대 수역에 분포한다.
△ 먹이: 동물플랑크톤.
△ 멸종 위험요소: 관상용, 의약품 등으로 인기가 높아 무분별한 채취 우려, 해양 환경의 변화와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서식지 확보의 어려움.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관련기사
디지털 멸종도감 기사
- 관상용으로 전락한 '비자란'
- "누구니 넌?" 귀여운 눈망울에 날렵한 비행 자태
- "막둥이 산양아, 무럭무럭 자라다오"
- "어머, 이 집 눈썹 잘하네" 수리부엉이
- 한국을 대표하는 멍텅구리는?
- 바다의 포식자 '북방물개'
- 원시 물고기 ‘다묵장어’
- "아 오늘 헤어스타일 끝내주네~" 뿔쇠오리
- 길쭉한 귀를 쫑긋! 애기애기한 '토끼박쥐'
- '레오파드', 살아 숨쉬는 표범이 아닌 '패션'으로만 남게 될 것인가
- 낮에는 얌전, 밤 되면 '텐션 업' 되는 금빛 머릿결의 정체는?
- 관능적인 '머스크향'으로 멸종위기... ‘사향노루(Musk Deer)'
- 제주도의 보물, 연약하고 고운 ‘비바리’
- '그대에게 행운을' 가시연꽃
- 똥을 굴려 생태 순환... 연금술사 '소똥구리'
- 주걱 모양의 독특한 부리 ‘저어새’
- 든든한 숲의 파수꾼 '반달가슴곰'
- 한반도 특산종인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 '팔색조 매력'의 진짜 주인공 "나야 나"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