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징 및 생김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며 자생식물이다. 한방에서 약초로 많이 쓰인다. 꽃, 잎, 뿌리 모두 흰색이라 ‘삼백초’이다. 높이 50~100㎝, 길이 5~15㎝, 너비 3~8㎝이다.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잎맥은 5~7개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다. 꽃은 6~8월에 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는 10~15㎝이다. 밑을 향해 폈다가 나중에는 똑바로 선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6~7개, 암술은 3~5개이다. 8~10월에 동글한 모양의 열매를 맺는다.
△ 서식지: 여러해살이풀로 해발 50m 이하 저지대 해안가의 폐농경지나 배수로를 따라 자란다. 소하천 하류에 집단을 이룬다. 국내에는 제주도에서만 분포한다. 국외는 중국, 인도, 일본, 베트남에 분포한다.
△ 멸종 위험요소: 자생지가 주로 고도가 낮은 습지여서 개발 압력에 노출, 약초, 원예를 목적으로 무분별한 채취.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관련기사
디지털 멸종도감 기사
- 제주도의 보물, 연약하고 고운 ‘비바리’
- '그대에게 행운을' 가시연꽃
- 똥을 굴려 생태 순환... 연금술사 '소똥구리'
- 주걱 모양의 독특한 부리 ‘저어새’
- 든든한 숲의 파수꾼 '반달가슴곰'
- 한반도 특산종인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 '팔색조 매력'의 진짜 주인공 "나야 나"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
- 맑고 깨끗한 물에서 사는 ‘순채’
- 꽃 잎 뿌리 모두 흰색인 '삼백초'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동물 ‘무산쇠족제비’
- 깽~깽~깽 우는 ‘수원청개구리’
- 용맹의 상징 '검독수리'
- 50년 만에 다시 나타난 '작은관코박쥐'
- 공룡을 꼭 닮은 거대한 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
- 한국의 도마뱀 '표범장지뱀'을 아시나요?
- 한국 전설에 단골로 등장하는 뱀 ‘구렁이’
- 중국 양쯔강에서만 사는 신비한 동물 '양쯔강돌고래'
- 한국의 논이나 하천에서 사는 민물거북 '남생이'
- 밤이면 반딧불처럼 빛나는 '화경버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