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김새 및 생태 특징: 뱀과에 속하는 파충류. 멸종위기 ll급인 구렁이는 가장 큰 한국 뱀이다. 약 1.8m나 되는 큰 개체도 있다. 몸통 전체에 가로 줄무늬가 있으며, 몸통 색에 따라 먹구렁이와 황구렁이로 구분하기도 한다. 한국 전통 문화에선 신성시하는 동물이다. 가정 수호신으로 가운이 막힐 때 집을 떠나는 동물로 여겨졌다. 혜를 갚을 줄 알고 신통력이 대단한 동물로도 여겨졌다. 구렁이와 관련한 전설이 많다는 건 그만큼 구렁이가 한국인에게 친숙한 동물이었기 때문이다. 구렝이·먹구렁이·흑질·백질·백장·황치·황새넙치 등으로 불린다. 성질이 온순하고 동작이 느리다. 이 때문에 ‘눈 먼 구렁이 꿩의 알 굴리듯 한다’란 말이 나왔다. 음흉하거나 능글맞은 사람을 구렁이와 빗대기도 한다. 주로 20개 미만의 알을 낳는다. 농가 퇴비 속에 산란해 퇴비 발효열로 알을 부화시키기도 한다.
서식지: 마을 인근의 돌담이나 산림, 방죽의 돌 틈에 서식한다
먹이: 쥐, 작은 새, 새알 등을 먹고 산다.
멸종 위협요인: 성질이 온순하고 동작이 느리다. 1960년대 이후 보신용으로 남획돼 멸종위기에 처했다. 무분별한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디지털 멸종도감 기사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
- 맑고 깨끗한 물에서 사는 ‘순채’
- 꽃 잎 뿌리 모두 흰색인 '삼백초'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동물 ‘무산쇠족제비’
- 깽~깽~깽 우는 ‘수원청개구리’
- 용맹의 상징 '검독수리'
- 50년 만에 다시 나타난 '작은관코박쥐'
- 공룡을 꼭 닮은 거대한 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
- 한국의 도마뱀 '표범장지뱀'을 아시나요?
- 한국 전설에 단골로 등장하는 뱀 ‘구렁이’
- 중국 양쯔강에서만 사는 신비한 동물 '양쯔강돌고래'
- 한국의 논이나 하천에서 사는 민물거북 '남생이'
- 밤이면 반딧불처럼 빛나는 '화경버섯'
- '한국 하천의 귀요미' 수달
- 염소를 꼭 닮은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 '산양'
- 울릉도에서도 절벽에만 자라는 '섬개야광나무'
- 이외수의 소설 속 그 곤충 '장수하늘소'
- 꽃모양이 요강을 꼭 닮은 '광릉요강꽃'
- 이름에 남한이란 뜻이 들어 있는 '세뿔투구꽃'
- 1급 보호종 '붉은점모시나비'에게는 믿기 힘든 능력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