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김새 및 생태특징: 1980년 일본 양서류 학자에 의해 발견됐다. 수원에서 처음 발견돼 ‘수원청개구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국 개구리 종 중 가장 작다. 주둥이부터 총배설강까지의 길이는 2.5~4㎝이다. 소화, 배변, 생식을 처리하는 구멍이 하나로 같다. 한국 고유종이며 청개구리와 외형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다. 짝짓기 때 수컷의 울음소리로 구별한다. ‘수원청개구리’의 울음소리는 ‘깽~깽~깽’ 소리로 들린다. 청개구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날카롭게 운다. 등면은 녹색, 녹청색이고 배면은 배색이다. 특별한 무늬나 반점은 없다. 수컷의 울음주머니는 대부분 노란색이나 턱 밑부분만 검은색인 개체도 관찰된다. 4월부터 활동하며 5~7월에 번식한다. 발견 이후 거의 연구되지 않아 생태적, 유전적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양서류 중 처음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다.
△서식지: 강원도 원주, 경기도, 서울, 충청남도,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의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큰 강 주변 대규모 논 근처에서 발견된다.
△먹이: 각종 벌레.
△멸종요인: 농지 개발, 농약 사용으로 인한 서식지가 파괴되고 유전적 다양성 낮아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디지털 멸종도감 기사
- 똥을 굴려 생태 순환... 연금술사 '소똥구리'
- 주걱 모양의 독특한 부리 ‘저어새’
- 든든한 숲의 파수꾼 '반달가슴곰'
- 한반도 특산종인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 '팔색조 매력'의 진짜 주인공 "나야 나"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
- 맑고 깨끗한 물에서 사는 ‘순채’
- 꽃 잎 뿌리 모두 흰색인 '삼백초'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동물 ‘무산쇠족제비’
- 깽~깽~깽 우는 ‘수원청개구리’
- 용맹의 상징 '검독수리'
- 50년 만에 다시 나타난 '작은관코박쥐'
- 공룡을 꼭 닮은 거대한 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
- 한국의 도마뱀 '표범장지뱀'을 아시나요?
- 한국 전설에 단골로 등장하는 뱀 ‘구렁이’
- 중국 양쯔강에서만 사는 신비한 동물 '양쯔강돌고래'
- 한국의 논이나 하천에서 사는 민물거북 '남생이'
- 밤이면 반딧불처럼 빛나는 '화경버섯'
- '한국 하천의 귀요미' 수달
- 염소를 꼭 닮은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 '산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