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곽은영 기자] 기후위기는 전설도 우화도 SF도 아닌 현재진행형의 현실이자 사실이다. 이미 기후변화는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진행되었고 인간은 발전을 포기하고 기후를 되돌릴 생각이 없다.
냉정하게 말하면 인류는 문명을 이어갈 확률이 희박하다. 학자들은 기후위기가 한순간의 멸망이 아니라 고통스러운 질병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지금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인류세에서 죽음을 배우다’의 저자 로이 스크랜턴은 지금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과학적 분석보다 철학적 사고라고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죽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여기에서 죽음은 개인으로서의 죽음뿐만 아니라 문명을 만든 인간으로서의 죽음까지 포함한다. 우리는 기억과 역사와 철학을 남기고 죽는 법을 배워야 하고, 그것은 인류의 피할 수 없는 숙제다.
“많은 정책 전문가, 기후학자, 국가 안보 관료의 견해에 따르면, 중요한 것은 지구온난화가 사실인가 혹은 지구온난화를 어떻게 막을 것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만든 이 뜨겁고 급변하는 세계에서의 삶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다.”
본문에 나오는 이 뜨겁고 급변하는 새로운 세계를 지칭하는 이름이 인류세다. 2000년에 처음 제안된 용어로 새로운 지질시대의 개념이다. 인간이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시대로 특징은 환경 파괴다.
인류세의 시대를 배경으로 이라크 참전용사이기도 한 저자는 급박한 기후변화의 문제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그는 독자들과 함께 이라크 전쟁과 뉴욕의 환경 시위를 지나 길가메시와 호메로스의 시대를 넘나들며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고민한다. 이 혼돈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하기 위해서다.
서울대 과학학과 홍성욱 교수는 이 책의 추천사를 통해 “죽음 직전에 주변을 정리하듯, 우리는 지금 살아서 버려야 한다. 인류세 시대에 제대로 죽는 법을 배우는 게, 우리가 함께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결론은 다시 죽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죽는 법을 배움으로써 미래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과 접속되고 두려움 없이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이는 막연하고 긍정적인 낙관론도, 결국 모든 것이 사라질 것이라는 비관론도 아니다. 다만 기후위기의 시대에 인간이 다시 사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펭귄의 서재] "누군가 하겠지"의 '누군가'가 되기로
- [펭귄의 서재] 염치없는 한 시인의 저작권
- [펭귄의 서재] 기후 우울증 환자 주목!
- [펭귄의 서재] 그때도 지구는 녹고 있었다
- [펭귄의 서재] 감정은 인간과 동물의 공통어
- [펭귄의 서재] 코앞에서 시작하는 순환하는 삶
- [펭귄의 서재] 딸과 아빠가 들려주는 화장품 뒷이야기
- [펭귄의 서재] 역동적이고 매력적인 식물의 세계
- [펭귄의 서재] 상식적이고 자연스러운 ‘자연’을 찾아서
- [펭귄의 서재] 동물도 슬픔을 느낀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면
- [펭귄의 서재] 과학이 아닌 철학이 필요한 때
- [펭귄의 서재] 그거 알아요? 새는 공룡이에요
- [펭귄의 서재] 상처가 만든 구멍, 41마리 생명을 품다
- [펭귄의 서재] 너는 왜 말라 죽은 나무에 살아?
- [펭귄의 서재] 비로소, 코끼리를 마주하기 위한 안내서
- [펭귄의 서재] 바다와 육지가 만나면 생태계는 어떻게 될까?
- [펭귄의 서재] 바다 밑에는 물리학의 한계 넘는 천재가 산다
- [펭귄의 서재] 험한 세상, 새끼 동물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 [펭귄의 서재] 인간을 닮은 가장 작은 존재
- 제목은 시골살이 현실로 하겠습니다 근데 이제 희망을 곁들인...
- [펭귄의 서재] 새가 바보라고? 그게 정말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