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이한 기자] "지구에 사는 대부분의 동물은 새끼들이다. 새끼 동물은 소비자이면서 생산자이고 또 경쟁자이면서 한편으로는 협력자다" (본문 중에서)
새끼 동물은 환경에 매우 민감하다. 살충제를 맞으면 껍질이 약해질 수 있고, 유출된 기름에 빠지면 조류 배아는 죽고 만다. 조개와 갑각류 유생은 바다에서 완벽한 집을 찾을 때까지는 완전한 성체로 자라지 못한다.
그러면 새끼 동물들은 대부분 힘없이 목숨을 잃을까? 물론 그렇지 않다. 새끼들은 혹독한 환경을 바꾸거나 이겨낼 수 있을 만한 힘도 가지고 있다. 책에 따르면, 이건 인간 관점에서 보면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다. 식물 뿌리를 먹는 선충과 천공충 같은 농업 해충은 새끼 곤충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 대륙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입힌다.
반면 수많은 딱정벌레 유충은 플라스틱을 소화시킬 수 있어 인간과 자연 세계의 오염 상태를 정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기도 한다.
이 책 ‘어린것들의 거대한 세계’는 지구를 완성하는 어린 동물의 놀라운 생존에 대해 다룬다. 저자 대나 스타프는 해양생물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새끼 오징어 연구를 바탕으로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여러 과학 관련 매체에 글을 실으면서 해양생물, 어린 동물 등과 관련한 과학 전문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고 있다. ‘바다의 제왕’ ‘아가씨와 문어’ 등 다른 책으로도 관련 활동을 펴왔다.
저자는 이 책에서 홈볼트오징어 새끼를 비롯해 수많은 동물의 탄생부터 성년이 되기까지의 성장과 일상을 다룬다. 성체보다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어린 동물들’의 생존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어서 학계와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그는 책에서 “새끼 한 마리 한 마리는 세상이라는 천을 뚫고 한 땀 한 땀 바느질하는 작은 바늘과 같다”고 비유했다. 새끼들에게서 건강과 수명의 비밀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변화와 멸종의 위협에서 꿋꿋하게 성장하는 어린 동물들의 삶이 궁금한 독자에게 추천한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펭귄의 서재] 역동적이고 매력적인 식물의 세계
- [펭귄의 서재] 상식적이고 자연스러운 ‘자연’을 찾아서
- [펭귄의 서재] 동물도 슬픔을 느낀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면
- [펭귄의 서재] 과학이 아닌 철학이 필요한 때
- [펭귄의 서재] 그거 알아요? 새는 공룡이에요
- [펭귄의 서재] 상처가 만든 구멍, 41마리 생명을 품다
- [펭귄의 서재] 너는 왜 말라 죽은 나무에 살아?
- [펭귄의 서재] 비로소, 코끼리를 마주하기 위한 안내서
- [펭귄의 서재] 바다와 육지가 만나면 생태계는 어떻게 될까?
- [펭귄의 서재] 바다 밑에는 물리학의 한계 넘는 천재가 산다
- [펭귄의 서재] 험한 세상, 새끼 동물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 [펭귄의 서재] 인간을 닮은 가장 작은 존재
- 제목은 시골살이 현실로 하겠습니다 근데 이제 희망을 곁들인...
- [펭귄의 서재] 새가 바보라고? 그게 정말이야?
- [펭귄의 서재] 거인의 마지막 목소리 “침묵 지킬 수 없었니?”
- [펭귄의 서재] 시멘트는 가고 '흙'의 시대가 온다
- [펭귄의 서재] 소득 1%를 기후대응에 쓸 수 있나요?
- [펭귄의 서재] 나만의 시그니처, 심해에서 배우다
- [펭귄의 서재] 한국의 숲생태학자 이야기
- [펭귄의 서재] 토끼는 당근을 먹지 않는다
- [펭귄의 서재] 바다와 사랑에 빠진 순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