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우다영 기자] 멸종위기종 남방큰돌고래가 서식 중인 제주 연안이 오는 12월 해양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는 협의 과정이 긍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동물보호단체도 긍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다만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는 남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언론보도와 <뉴스펭귄> 취재를 종합하면 보호구역으로 예정된 곳은 제주 구좌읍 김녕리,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리 해역으로 총 2곳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현재 주민공청회를 거쳐 관계기관 협의 단계에 있으며, 지역 내 반응이 긍정적이어서 이후 협의 단계도 무리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보호구역을 제주 해안 전체로 넓히겠다는 목표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해 제주도 오조리 갯벌을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는 이번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례다.
해수부 해양생태과 신재영 과장은 25일 <뉴스펭귄>과의 통화에서 “지정 이후 주민 지원 활동이 활발했고, 생태관광 등이 활성화되면 제주 해역도 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해도 괜찮겠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
제주 바다 일대를 돌고래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라는 요구는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왔다. 해양동물보호단체 핫핑크돌핀스는 2015년부터 이와 같은 주장을 펼쳐왔다. 조약골 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는 “당시 해상풍력발전단지, 연안 난개발 등으로 남방큰돌고래 서식지가 급감해 몇 년 전부터 해양수산부와 보호구역 지정을 위해 협의해 왔다”고 말했다.
다만 보호구역 예산 부족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 18일 핫핑크돌핀스 성명서에 따르면 남방큰돌고래 생태허브 조성 예산이 삭감된 바 있다. 생태허브는 관광선박들에 고통받는 남방큰돌고래를 위해 마련한 계획이다. 해수부에서 요청한 예산 20억 원을 기획재정부에서 전액 삭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약골 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는 보호구역 지정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역 주민들의 반대를 전제하면서 “주민들을 설득하고 교육하는 등의 예산이 필요하며, 확대를 위한 사업계획과 그 사업을 당부할 수 있는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존 보호구역도 사후관리가 부실한 경우가 일부 있었다고 지적하면서 “보호구역 가까이에서 보호단체들이 생태허브 등으로 직접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상주 시민단체 대상으로 보호 의미가 부여될 수 있도록 생태교육, 생태모니터링 등을 발굴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양쓰레기와 폐어구를 줄이고 선박 관광 등 돌고래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도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남방큰돌고래는 국내 해양보호생물 지정종이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기준 준위협종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전 세계 중 국내 개체수가 가장 적다. 이들은 제주 연안에서만 서식하는데, 개체수는 100여 마리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언급돼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최근 남방큰돌고래 새끼 절반이 폐사하는 등 다수 언론을 통해 폐사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