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김새 및 생태특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포유류이다. 몸길이는 수컷이 140~160㎝, 암컷이 약 120㎝다. 꼬리 길이는 수컷이 95~110㎝, 암컷이 약 83㎝이다. 꼬리가 길어서 항상 몸길이의 절반을 넘는다. 몸무게는 30~40㎏이며 최대 130㎏까지 나간다. 머리가 크고 둥글며 목은 짧다. 코는 뾰족하며 눈은 둥근 형태이다. 귀는 짧고 둥글며 귀 끝에 총모(總毛)가 없다. 황색 또는 황적색을 띠며 복부는 흰색이다. 몸 전체에 검은 점무늬가 있는데 등면과 배면의 무늬가 다르다. 등면의 검은 점은 매화꽃 모양이며 그 속에 검은 점이 없다. 배면의 검은 점은 매화꽃 모양이 아니다. 단독생활을 하며 보통 밤에 활동한다. 몸이 유연하고 민첩하다. 사냥감을 빠르게 덮쳐서 쓰러뜨린다. 쓰러뜨린 먹이는 나무 위에 끌어 올린 뒤 그곳에서 먹는다. 뛰어오르는 힘이 세고 나무타기에 능하다. 물에 대한 공포감이 있으나 필요할 때는 헤엄도 친다. 주로 겨울에서 봄에 짝짓기를 한다. 그러나 열대 지방에 사는 개체는 일정하지 않다. 임신 기간은 90~100일이며 숲속이나 바위틈에서 2, 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3년이 지나면 성체로 성장하며 수명은 20~25년이다.
△ 서식지: 고산 지대의 산림에서 산다. 한국의 경우 경기도 광릉,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전남 천태산, 묘향산에서 서식했던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에는 중국,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아프리카,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자바 등지에서 널리 분포한다.
△ 먹이: 소, 영양, 사슴, 노루, 토끼, 원숭이, 멧닭, 꿩, 오소리, 너구리, 들쥐, 파충류 등 잡식성이다.
△ 멸종 위험요소: 모피의 수요로 인한 과도한 남획,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 전 세계 딱 세마리 남은 '자이언트 양쯔자라'
- 관상용으로 전락한 '비자란'
- "누구니 넌?" 귀여운 눈망울에 날렵한 비행 자태
- "막둥이 산양아, 무럭무럭 자라다오"
- "어머, 이 집 눈썹 잘하네" 수리부엉이
- 한국을 대표하는 멍텅구리는?
- 바다의 포식자 '북방물개'
- 원시 물고기 ‘다묵장어’
- "아 오늘 헤어스타일 끝내주네~" 뿔쇠오리
- 길쭉한 귀를 쫑긋! 애기애기한 '토끼박쥐'
- '레오파드', 살아 숨쉬는 표범이 아닌 '패션'으로만 남게 될 것인가
- 낮에는 얌전, 밤 되면 '텐션 업' 되는 금빛 머릿결의 정체는?
- 관능적인 '머스크향'으로 멸종위기... ‘사향노루(Musk Deer)'
- 제주도의 보물, 연약하고 고운 ‘비바리’
- '그대에게 행운을' 가시연꽃
- 똥을 굴려 생태 순환... 연금술사 '소똥구리'
- 주걱 모양의 독특한 부리 ‘저어새’
- 든든한 숲의 파수꾼 '반달가슴곰'
- 한반도 특산종인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 '팔색조 매력'의 진짜 주인공 "나야 나"
- 바람을 닮은 화초 '풍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