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홍수나 가뭄 등 물 관련 재난을 정확히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 관측망을 세운다. 특히 산지재난 대응 분야에서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31년까지 8년 동안 전국 400곳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 (사진 산림청)/뉴스펭귄
국립산림과학원이 2031년까지 8년 동안 전국 400곳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 (사진 산림청)/뉴스펭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5일 “2031년까지 8년 동안 전국 400곳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이다. 홍수나 가뭄, 산사태 등 물과 관련한 산지재난 발생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목적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정확히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시스템을 구축하면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이 가능해져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산림청은 기대하고 있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 ‘포레스츠'(Forests)에 지난해 게재됐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앞으로 물 재난 관련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정밀한 관측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박찬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지에서 발생하는 유량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산림유량관측망 후보지 선정 과정 및 연차별 추진 계획. (자료 산림청)
산림유량관측망 후보지 선정 과정 및 연차별 추진 계획. (자료 산림청)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