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사진을 기반으로 서울시 자치구별 평균 지표 온도와 도시숲 분포를 따져보니 지역별 숲 면적 비율에 차이가 있고 그에 따라 지표면 온도 역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휴지를 활용해 교통섬과 가로수 등을 조성해야 한다는 조언도 들린다. 

도시숲 면적이 높으면 지표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도시숲 면적이 높으면 지표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분석 결과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평균 도시숲 면적 비율은 30.6%다, 그러나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관찰됐다. 강북구(62.3%)와 종로구(61.1%), 관악구(57.4%), 은평구(52.2%), 도봉구(51.3%)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영등포구(5.8%), 강서구(10.2%), 성동구(10.8%)는 그 비율이 낮았다. 

숲 규모는 지표면 온도에 영향을 미쳤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도시숲 비율이 높은 강북구, 종로구, 관악구, 은평구, 도봉구, 노원구, 서초구에서 지표면 평균 온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24년 8월 29일 기준 서울시 지표면 평균 온도는 37.1로 나타났는데 강북구는 34.9를 기록했고 영등포구와 강서구는 각각 37,9와 38.1을 기록했다. 숲 비율과 온도의 차이는 아래 그림과 같았다.

지표면 온도와 도시숲 면적 비율. (자료 산림청)/뉴스펭귄
지표면 온도와 도시숲 면적 비율. (자료 산림청)/뉴스펭귄

박찬열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별로 도시숲을 확대해 지표 온도를 낮춰야 한다”며 “유휴지를 활용해 교통섬과 가로수 등 작은 숲을 다수 조성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번 분석은 랜샛 위성 영상(2024.8.29.11시)의 온도 밴드를 분석한 지표 온도와 도시숲 분야 상위 국제저널 『Ecological Indicators』에 실린 서울시 도시숲 지도를 상호 분석한 결과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