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뉴닉 '2025 다시 만난 대선' 홈페이지)/뉴스펭귄
(사진 뉴닉 '2025 다시 만난 대선' 홈페이지)/뉴스펭귄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시민들은 ‘어떤 나라에서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기후위기 대응을 향한 바람을 쏟아냈다.

뉴스레터 미디어 뉴닉과 비영리 정치 스타트업 뉴웨이즈는 '나는 OO한 나라에 살고 싶다'를 주제로 참여형 이벤트를 이달 29일까지 진행 중이다.

참여자들은 홈페이지에 접속해 자신이 살고 싶은 나라의 모습을 문장으로 적으면, 그 문장이 실시간으로 화면에 공개된다.

이 가운데 '기후위기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나라', '탄소중립을 노력하는 나라', '플라스틱이 없는 나라', '지구를 생각하는 나라' 등 기후와 환경을 언급한 문장들이 곳곳에 등장했다. 특히 '동물이 살기 좋은 나라'를 적은 문장들도 다수 눈에 띄었다.

정치권이 정쟁에 몰두하는 사이,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삶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는 뚜렷해지고 있다.

 

10명 중 6명
"새 정부, 기후대응 최우선해야"

이 같은 시민들의 바람은 여론조사에서도 나타났다. 녹색전환연구소·더가능연구소·로컬에너지랩 등이 구성한 '기후정치바람'이 지난달 18세 이상 시민 44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기후위기 국민 인식조사에서 '향후 출범한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62.3%로 나타났다.

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우선 정책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58.8%로 가장 높았고, 전기요금 인상의 필요성에는 54.8%가, 탄소배출량에 비례한 탄소세 도입에는 71.2%가 동의했다.

또 뉴웨이즈·뉴닉·어피티가 2~30대 시민 60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기후위기의 생활화와 청년 세대의 생존 위협을 완화하기 위한 시급한 정책으로 ▲기후위기에 가장 먼저 영향받는 농림어업·축산업 보호, ▲공공기관·대기업의 기후 리스크 책임 강화, ▲산업 측면에서 저탄소 에너지 인프라 확대'가 꼽혔다.

청년 응답자들은 기후위기 최전선에 놓인 농어업 보호를 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생태적 전환과 함께 불평등한 부담 해소에도 주목했다. 아울러 막대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공공기관과 대기업이 책임 있는 전환에 나서야 한다는 인식도 높았다.

 

대선 후보들
에너지 공약은

실제 기후위기 대응은 다음 정부가 피할 수 없는 과제다. 새 정부는 출범 3개월 내에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마련해 유엔에 제출해야 하며, 내년 3월까지 국회와 함께 탄소중립기본법을 개정해야 한다. 헌법재판소는 이 법에 2030년 이후 감축 경로가 빠져 있다는 이유로 지난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바 있다.

11일 확정된 대선 후보들은 각기 다른 기후·에너지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전국에 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2040년까지 석탄발전소를 전면 폐쇄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주민이 주도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햇빛소득마을'을 만들고 기후적응형 농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원전 비중을 60%까지 확대하고, 환경 문제가 있는 LNG와 석탄발전은 절반 이상 감축하겠다고 제시했다. 동시에 연료전지 등 신에너지 비중을 늘리고 전기요금을 50% 낮추는 환경을 만드는 구상도 설명했다.

한편, 오는 23일 열리는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기후위기'가 사회 분야 의제로 다뤄진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