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를 3주 앞둔 지금, 대선 후보자들이 AI 투자와 조기 개헌 등 경제·정치 분야 공약만 쏟아낼 뿐 기후위기 대응이나 환경·생태 관련 대책에는 관심이 덜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후 문제를 주제로 후보자들의 TV토론회를 열고, 기후대응 관련 공약도 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기후 문제를 주제로 후보자들의 TV토론회를 열고, 기후대응 관련 공약도 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기후위기비상행동)/뉴스펭귄
기후 문제를 주제로 후보자들의 TV토론회를 열고, 기후대응 관련 공약도 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기후위기비상행동)/뉴스펭귄

기후위기비상행동이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이 기후위기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회견문을 통해 올해(2025년)가 물리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주장했다. 지난해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이 1.5도를 초과해 기후변화의 임계점을 돌파했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일상화되는 기후재난은 사회 인프라를 위협하고,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같이 산업 전반의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파리협정을 통해 1.5도 이하로 온도 상승을 제한하겠다고 약속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산불, 가뭄 같은 기후재난은 일상화됐고 시민들의 위기감도 어느 때보다 높다”고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대선 후보자들의 공약을 보면 AI 투자, 수도권 이전, 조기 개헌 같은 구호만 넘쳐날 뿐 사회의 전반적인 위기인 기후위기 대응은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기후위기를 국가적 핵심 의제로 삼아야 한다고 요구하며 후보자들이 이미 예정된 세 차례의 토론회 뿐만 아니라 기후를 단일 주제로 한 네 번째 토론회를 추가로 열자고 제안했다. 정치·사회·경제 분야로 예정된 기존 토론 주제에도 기후 관련 의제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한 대책이나 기후재원 마련, 지역의 에너지 자립, 탄소중립 과정에서의 산업 전환 등 여러 과제를 생각하면, 이 질문들은 환경분야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와 정치 영역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취지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늦을 수록 그 비용과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임계점을 넘는 순간 우리 사회는 더 이상 그 피해를 감당할 수 없다. 지금이 아니면 너무 늦고, 너무 비싸고, 너무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