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의 고유종인 괌물총새는 예쁜 털 빛깔과 크고 옆으로 납작한 부리가 특징이다. (사진 Martin Kastner - TNC_ZSL)/뉴스펭귄
괌의 고유종인 괌물총새는 예쁜 털 빛깔과 크고 옆으로 납작한 부리가 특징이다. (사진 Martin Kastner - TNC_ZSL)/뉴스펭귄

[뉴스펭귄 이동재 기자] 과거 야생에서 절멸했지만 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해 다시 야생에 첫 걸음을 내딛은 괌물총새(Guam kingfishers). 태평양의 작은 섬 팔미라 환초(Palmyra Atoll)에 방사된 괌물총새들이 첫 알을 낳았다. 40년만에 첫 야생 번식이다.

원주민들에겐 ‘시헥(Sihek)’이라고 불려 온 괌물총새는 예쁜 털 빛깔과 크고 옆으로 납작한 부리가 특징이다. 괌 지역의 고유종이기도 한 괌물총새는 1940년대 괌에 침입종 뱀이 들어오며 개체수가 급감했다. 1988년 마지막 야생 개체가 목격된 뒤 자취를 감췄는데, 생물학자들이 야생에 살아남은 개체 29마리를 동물원으로 옮겨 인공 보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오랜 시간이 흘러 드디어 지난해 9월, 동물원에서 나고 자란 괌물총새 아홉 마리가 미국 환경 단체 더네이처컨서번시(TNC)가 관리하고 있 팔미라 환초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방사됐다. 야생 절멸 괌물총새 복원 프로젝트의 첫 결실이었다.

방사된 새들은 곧장 주변 환경에 적응하며 먹이를 사냥하고 열대림을 누비기 시작했다. 이들 중 4쌍이 짝을 짓고 둥지를 지었다. 그리고 부활절이었던 지난 주말, 이들이 낳은 알이 발견됐다. 1980년대 괌에서 괌물총새가 사라진 이후, 40여년 만에 처음 확인된 야생 번식의 순간이었다.

지난 주말 야생에 방사된 괌물총새가 낳은 알이 발견됐다. 1980년대 괌에서 괌물총새가 사라진 이후 40여년 만에 처음 확인된 야생 번식이다. (사진 TNC_ZSL 제공)/뉴스펭귄
지난 주말 야생에 방사된 괌물총새가 낳은 알이 발견됐다. 1980년대 괌에서 괌물총새가 사라진 이후 40여년 만에 처음 확인된 야생 번식이다. (사진 TNC_ZSL 제공)/뉴스펭귄

프로젝트를 이끈 런던동물원(ZSL) 동물학연구소 존 유언(John Ewen) 교수는 “이번 부활절, 우리는 부활절 달걀 대신 더 귀하고 소중한 알을 찾았다”며 “수십 년에 걸친 보전 노력의 결실이자 모든 참여자들의 헌신이 만들어낸 쾌거”라고 감격스러워했다.

런던동물원 조류 사육사 샬럿 제임스(Charlotte James)는 “작년 봄에 알 상태였던 이 새들을 직접 돌보다가 이제는 야생의 숲에서 둥지를 트는 모습을 보니 마치 자식이 자라는 걸 보는 듯 감격스럽다”며 “종 보전을 위한 여정에 참여할 수 있어 큰 영광”이라고 전했다.

알을 낳은 괌물총새들은 모두 생후 1년도 채 되지 않은, 육추 경험이 없는 어린 새들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번식이 성공적인 부화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이러한 시도가 반복되며 개체들이 점차 육추 능력을 익힐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올 여름에는 더 많은 어린 괌물총새가 팔미라 환초에 방사될 예정이다. 올해 10쌍의 번식쌍이 탄생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