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생물들이 자꾸만 죽어갑니다. 무엇이 이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을까요. 이들이 사라진 바다 생태계는 괜찮을까요. 과연 이들의 죽음을 멈출 수 있을까요. 전 세계 바다에서 일어나고 있는 해양 생물 집단 폐사 사건과 이를 둘러싼 문제들을 짚어봅니다. [편집자 주]
[뉴스펭귄 이동재 기자] 과도한 어업과 해양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심각한 가운데, 해양 생태계를 지키고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기 위해 해양보호구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올해 초부터 인도 해안에 떠밀려오고 있는 수백 마리의 바다거북 사체. 대규모 폐사의 원인으로 저인망 어업이 지목되면서 과잉 어업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지금과 같은 과잉 어업이 지속된다면 2048년에는 바다에 생물들이 남아있지 않아 더 이상의 상업적 어업이 불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작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는 전 세계 산호초 지대에 서식하는 상어와 가오리의 3분의 2가 이미 멸종위기에 처했다는 연구도 발표됐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2100년까지 해양 생물의 최대 84%가 멸종위험에 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로 어업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어획량은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지속돼 온 남획으로 인해 전체적인 어족 자원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바다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기 위해 과잉 어업을 규제하고 해양보호구역(Marine Protected Areas)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해양보호구역은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특별히 지정해 관리하는 해역이다. 구역 내에서는 어업, 채굴, 개발 등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는 일체의 인간 활동이 통제된다. 과학자들은 해양 생태계가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선 전 세계 해양 면적의 최소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2022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국제 사회는 해양 면적의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기로 뜻을 모았다. 2030년까지 육상, 하천·호소·저수지 등 내수, 해안, 해양의 최소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보존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30x30 목표에 합의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해양보호구역으로 정해져 보호되고 있는 곳은 전 세계 해양의 8%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목표치인 30%를 달성하려면 2030년까지 남은 6년 동안 매년 한국 면적의 약 130배(1299만 6000㎢)가 넘는 보호구역을 지정해야 한다.
UN 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해양 면적의 2.7%만이 제대로 보호되고 있고, 공해의 경우 0.9%로 떨어진다. 그린피스는 이에 대해 “현재 속도대로라면 83년 뒤인 2107년에야 30x30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는 국제적인 목표에 따라 2030년까지 1000㎢ 이상의 대형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해 우리나라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설정한다는 목표를 공식화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보호구역 비율은 단 1.8% 수준으로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어느 때보다 혁신적인 보호구역 확대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해양보호구역을 확대하는 것을 넘어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 구역은 해양보호구역임에도 불구하고 불법 어업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등 충분한 감시 체계와 법적 집행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해양보호구역 내에서 허용된 활동이 실제로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어 실질적인 보호가 이뤄지기 위해선 활동 제한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