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어린이·청소년 중 약 75%가 학교와 사회에서의 환경교육이 부족하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래세대 아이들 4명 중 1명은 환경 정책이나 제도 개선을 직접 제안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대선을 앞두고 차기 정부가 이들의 목소리를 제도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국내 어린이·청소년 중 약 75%가 학교와 사회에서의 환경교육이 부족하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국내 어린이·청소년 중 약 75%가 학교와 사회에서의 환경교육이 부족하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환경재단 산하 어린이환경센터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난 5월 1일부터 18일까지 전국의 어린이·청소년 1,0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후위기 시대, 다음 대통령에게 바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기후위기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미래세대가 현재 어떤 환경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미래세대 환경문제 1위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어린이·청소년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한 환경문제는 폭염, 가뭄,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54.1%)였으며, 이어 ‘플라스틱과 쓰레기 문제’(49.4%)와 ‘미세먼지’(42.5%)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플라스틱과 쓰레기 문제’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 학년에서 고르게 선택돼, 일상 속에서 반복적으로 겪는 불편과 불안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환경재단은 이에 대해 “어린이·청소년이 환경 문제를 먼 미래의 과제가 아닌, 현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실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차기 대통령에게 기대하는 최우선 환경 정책으로는 ‘플라스틱·쓰레기 저감’(54.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재생에너지 확대(43.9%), 환경교육 강화(42.0%), 미세먼지 저감(41.3%), 생태계 보전(4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 “환경 교육 부족하다”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학교와 사회에서 체감하는 환경교육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전체 응답자의 74.3%는 ‘환경교육이 부족하다’(58.4%), ‘거의 배우지 못하고 있다’(14.3%), ‘전혀 배우지 않는다’(1.6%)고 답했으며, ‘충분히 배우고 있다’는 응답은 25.7%에 불과했다.

중·고등학생으로 갈수록 이러한 인식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거의 배우지 못한다’는 응답이 ‘충분히 배우고 있다’는 응답을 웃돌았다.

어린이·청소년들이 환경을 위해 실천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일회용품 줄이기 및 올바른 분리배출(75.0%)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자원·에너지 절약(64.9%), 생물다양성 보전(48.0%), 친환경 소비(42.5%), 환경 교육 및 캠페인 참여(31.7%)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4명 중 1명(25.0%)은 ‘환경 정책이나 제도 개선을 제안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실천을 넘어 정책 논의에도 직접 참여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환경재단은 “미래세대를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주체로 인식하고, 이들의 목소리가 제도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은 “기후위기 최전선에 놓인 우리의 이야기를 차기 대통령이 진지하게 들어줬으면 한다”, “청소년도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이 많아지기 바란다”,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알려주는 수업이 꼭 필요하다” 등 다양한 의견을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