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펭귄들의 생태와 삶을 매주 전합니다. 귀엽고 익숙한 이미지 뒤에 숨어 있는 진짜 펭귄 이야기, 뉴스펭귄만 들려드릴 수 있는 소식을 차곡차곡 전해드리겠습니다. [편집자 주]

지난 30년간 개체수 10마리 중 8마리가 사라지는 아프리카펭귄은 기후변화와 먹이 감소, 어업 압력이라는 위협을 동시에 받고 있다. (사진 Wikimedia Commons)/뉴스펭귄
지난 30년간 개체수 10마리 중 8마리가 사라지는 아프리카펭귄은 기후변화와 먹이 감소, 어업 압력이라는 위협을 동시에 받고 있다. (사진 Wikimedia Commons)/뉴스펭귄

아프리카 대륙 서해안을 따라 내려오는 작은 펭귄. 한 번 바다로 나가면 수십 킬로미터를 왕복하며 먹이를 찾아다니지만, 돌아오는 길은 점점 더 험해지고 있다. 지난 30년간 개체수 10마리 중 8마리가 사라지는 아프리카펭귄은 기후변화와 먹이 감소, 어업 압력이라는 위협을 동시에 받고 있다. 최근 이 펭귄과 어업이 실제로 얼마나 부딪히는지를 평가해 온 기준이 정작 중요한 사실을 놓쳤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좁은 지점에서 수많은 펭귄이 멸종하고 있었다.

아프리카펭귄이 근해 어업과 겪는 실제 충돌 수준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심각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도상으로는 펭귄과 어선이 거의 만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펭귄이 몰려 있는 지점에서는 충돌이 집중되는 현상이 드러났다. 최근 국제학술지 Journal of Applied Ecology(응용생태학 저널)에 공개된 연구는 남아프리카 서해안에 서식하는 아프리카펭귄의 4년간 이동 경로와 어선 위치 정보를 함께 분석해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를 지적했다.

연구진은 먼저 펭귄과 어선이 같은 바다 구역에 있었는지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기존 방식을 검토했다. 이 방식은 펭귄이 이동한 경로 지도와 어선 활동 지도를 겹쳐보고, 두 선이 겹치는 면적을 충돌로 간주한다. 이 계산만 보면 펭귄과 어업이 겹치는 지점은 대부분 5% 이하에 그쳤다. 

다만 이 방식은 수치만 계산할 뿐, 실제로 얼마나 많은 펭귄이 몰려 있었는지는 반영하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연구진은 "실제 충돌을 과소평가하게 만드는 핵심 문제"로 꼽았다.

연구는 같은 면적이라도 해당 공간에 몰린 펭귄 개체 수가 다르면 어업과 충돌하는 가능성도 크게 달라지는 점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어떤 구역에 펭귄이 2~3마리와 수십 마리가 머무는 것은 위험 수준에서 다르다는 설명이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연구진은 기존 방식에 더해, 겹친 공간 안에 실제 펭귄 마릿수까지 계산하는 방식으로 재평가했다.

분석 결과, 먹이 급감이 심했던 2016년 실제 충돌 강도는 기존 계산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도상으로는 여전히 겹치는 면적이 4%에 불과했지만, 펭귄이 좁은 구역에 집중되면서 실제로는 전체 펭귄 위치 20~27%가 어업 활동과 겹쳤다. 충돌 강도 역시 74~83%에 달했다. 지도만 보면 충돌이 거의 없는 수준이지만, 펭귄은 실제로 더 위험한 상황에 놓였다는 거다.

연구는 이러한 충돌이 해마다 달라지는 먹이양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지적한다. 아프리카펭귄 주요 먹이는 멸치와 정어리인데, 이들이 모이는 수역이 줄어들면 먹이를 찾기 위해 더 좁은 해역으로 몰린다. 근해 어업 역시 같은 이유로 치어가 모인 지역을 집중적으로 공략한다. 먹이가 넉넉한 해에는 펭귄과 어업이 비교적 넓은 구역을 사용해 거리를 둘 수 있지만, 먹이가 적은 해에는 더 좁은 구역에서 충돌이 발생한다.

충돌이 집중된 장소 역시 뚜렷하게 드러났다. 연구는 육지 방향으로 가까운 해역에서 펭귄과 어업 활동이 가장 많이 겹쳤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펭귄이 사냥 후 섬으로 돌아오는 길목이자 먹이 집중도가 높은 구역이다. 올해 3월 아프리카펭귄 번식지가 10년간 어업 금지 구역으로 지정되기도 했지만, 현행 보호구역은 섬을 중심으로 서쪽과 남쪽 해역에만 설정돼 있어 정작 충돌이 가장 많이 일어난 동쪽 구역 상당 부분이 보호에서 제외돼 있었다. 연구진은 "보호정책 사각지대"로 지적하며 "실제 펭귄이 사용하는 핵심 공간을 기준으로 보호구역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프리카펭귄은 지난 30년 동안 개체수가 약 78% 감소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위급(CR)' 등급으로 지정된 멸종위기종이다. 연구진은 "먹이량이 해마다 달라지는 만큼 고정된 경계선으로 보호하는 방식보다, 해당 연도 먹이 상황과 개체 분포를 고려해야 한다"며 "지도만 보면 펭귄이 안전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 좁은 공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히 보는 것이 보호정책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