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저감 정책이 “사기극”이라고 비난했다. 트럼프는 파리협정 탈퇴를 공식화하는 등 평소 ‘기후부정론자’로 꼽혀왔다.
국내외 언론보도 등을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 유엔이 주도해온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저감 정책에 대해 “전세계에 저질러진 최대의 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82년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은 기후변화가 2000년까지 전세계적 재앙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고, 또 다른 유엔 관리는 1989년에 10년 안에 전체 지구 국가들이 지구온난화(지구가열화)로 지도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면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지구 냉각이 세상을 멸망시킬 것이라고 했다”고 언급하며 “이 녹색 사기(green scam)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여러분의 나라는 실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탄소발자국에 대해서도 “악의적 의도를 가진 사람들이 꾸며낸 사기”라고 주장하며 기후위기 대응 정책 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그대로 드러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직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양자 회담에서 “미국은 유엔을 100% 지지한다”고 말했다. 세계 평화와 관련해 유엔이 가진 잠재력이 크다는 이유다.
국제사회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실현 정책 방향은?
트럼프는 국제사회에서 대표적인 ‘기후위기 부정론자’로 꼽힌다. 1기 집권 당시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했고, 바이든 정부시절 협정에 복귀하며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50~52% 감축이라는 높은 수준의 NDC를 제출했다. 그러나 트럼프는 2기 취임 직후 다시 파리협정 탈퇴를 공식화했다.
트럼프 취임 이후 정부효율부가 국립해양환경청 직원을 다수 해고하고 환경보호청장으로 임명된 리 젤딘은 31개 환경 규제를 줄줄이 철회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미 국토부는 공식 문서에서 '기후변화'라는 용어 사용을 금지하는 지침을 내렸고, 농무부는 기후정보 사이트를 삭제했다가 농민들과 법률 분쟁에 휘말리기도 했다.
올해 6월에는 가디언 등 외신은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운영하던 대표 기후정보 사이트 'Climate.gov'가 사실상 문을 닫는다고 보도했다. 이 사이트는 2010년부터 과학자들이 기후위기 정보를 제공해 온 곳이다. 앞서 5월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 차원의 기후변화 보고서를 작성하는 연구진을 전부 해임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트럼프가 환경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부정적인 인식을 쏟아낸 가운데,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정책에 발을 맞춰야 하는 국내 기업들 입장에는 혼란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한 대형 로펌은 지난 4월 뉴스레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기후의제를 비난하거나 그린 뉴딜을 사회주의 정책으로 폄훼하고 있다”며 “트럼프 재집권으로 향후 기후변화 정책의 불확실성은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 대응은 더 이상 기후정의나 환경에 국한된 의제가 아니라 산업·통상과 연계된 경제 현안이 되어 기업의 대응 요구도 거세지는 가운데, 트럼프 2기 출범으로 정책적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고 진단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