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웨일스 중부의 한 시골 마을, 250년만에 처음으로 한 쌍의 물수리가 참나무 꼭대기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았다. (사진 Usk Valley Ospreys)/뉴스펭귄
영국 웨일스 중부의 한 시골 마을, 250년만에 처음으로 한 쌍의 물수리가 참나무 꼭대기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았다. (사진 Usk Valley Ospreys)/뉴스펭귄

[뉴스펭귄 이동재 기자] 영국 웨일스 중부의 한 시골 마을, 250년만에 처음으로 한 쌍의 물수리가 참나무 꼭대기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았다. 마을 주민들은 이들의 일상을 감격스럽게 지켜보며, 이들의 귀한 둥지와 알을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 4월, 웨일스 어스크 계곡의 참나무 위 둥지에 반가운 철새 손님이 돌아왔다. 2023년 처음 모습을 드러내 마을 주민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던 물수리 한 쌍이 다시 찾아온 것이다. 두 물수리는 곧 둥지를 보수하며 번식 준비에 돌입했다. 둘은 지난해에도 돌아와 번식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런데 올해 처음, 둥지에서 알이 관찰됐다. 지난 24일부터 30일까지 암컷 물수리는 총 세 개의 알을 산란했다.

주민들은 웹캠에 찍힌 물수리들의 일상이 너무 놀랍고 감격스럽다는 반응이다. 자원봉사자로 나선 한 주민은 수컷 물수리가 물고기를 사냥해 와 암컷에게 보여주고는 근처 나뭇가지로 가져가 먼저 조금 먹은 뒤 암컷과 알 품는 일을 교대해주는 모습을 보며 "비행기에서 산소 마스크를 쓸 때 자신이 먼저 착용하고 옆 사람을 도와주는 모습을 보는 것 같다"며 놀라워했다.

물수리는 보통 평생 한 상대를 짝으로 두고, 한 번 만든 둥지를 수십 년간 사용한다. 여름이 끝나면 부모와 새끼들은 각자 따로 서아프리카로 이동하게 되는데, 새끼들은 본능에 의지해 겨울을 날 장소를 알아낸다. 자원봉사에 나선 또 다른 주민은 “맞바람을 견디며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가 아프리카 해변과 호수에서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해야 하는 것을 생각하면, 물수리들이 여기에 머무는 동안은 꼭 잘 보호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 시골 마을에서 물수리가 번식을 하고 산란한 것은 25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거기에 인위적인 방사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번식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산란은 더욱 의미가 있다.

마을 주민들은 귀중한 둥지와 알을 보호하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사진 Usk Valley Ospreys)/뉴스펭귄
마을 주민들은 귀중한 둥지와 알을 보호하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사진 Usk Valley Ospreys)/뉴스펭귄

시민 단체 어스크밸리물수리의 앤디 킹(Andy King) 대표는 “아직 부화까지는 시간이 좀 남아 매 순간이 조심스러운 단계이지만, 물수리의 번식이 이렇게 자연스럽고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면서, “우리가 할 일은 이 물수리들이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지켜보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마을 주민들은 귀중한 둥지와 알을 보호하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총 60여 명의 자원봉사자가 교대로 둥지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400미터 떨어진 운하 옆 산책로에서는 망원경을 든 관찰팀이 상시 대기 중이다. 둥지 주변에는 일반인의 접근을 막기 위한 제한 구역도 설정됐다.

한편 과거 영국 전역에서 절멸 위기에 처했었던 물수리는 1954년, 스코틀랜드 로치 가튼(Loch Garten) 지역에서 한 쌍이 처음으로 자연 번식에 성공하면서 개체수가 조금씩 회복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북웨일스와 남부 웨일스에서도 개체수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물수리는 영국 내에서 법적 보호종이다. 어스크 계곡은 다양한 어종이 서식해 물수리가 번식하기에 이상적인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다. 앤디 킹 대표는 “물수리들이 계곡을 찾고 있는 건, 이 지역의 하천과 호수가 얼마나 건강한지를 보여주는 지표”라면서, “굽이치는 강줄기, 자연스러운 강의 흐름, 조용한 경관 등 모든 요소들이 물수리들을 이끌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물수리 둥지가 위치한 주변 모든 토지는 사유지로, 보안 카메라를 통해 감시되고 있다. 공식적으로 승인된 관찰 지점은 단 한 곳뿐이며, 위치는 어스크밸리물수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