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산업의 탄소 감축 속도가 세계적 전환 흐름에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국내 철강산업의 탄소 감축 속도가 세계적 전환 흐름에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국내 철강산업의 탄소 감축 속도가 세계적 전환 흐름에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최근 5년간 주요 철강사들의 온실가스 감축률이 저조하고 저탄소 설비 투자와 재생에너지 전환이 지지부진해 저탄소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와 기후넥서스는 3일 발표한 ‘철강기업 기후행동평가 2025’ 보고서를 통해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베스틸 등 주요 철강 4개사의 2020~2024년 탄소중립 이행 현황을 분석했다.

이들 4개사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1억234만 톤. 국내 전체 배출량의 14.8%에 해당한다.

기후행동평가 모두 80점 미만...‘보통’은 1곳뿐

철강업종 특성을 고려한 지표 평가 결과, 현대제철이 100점 만점 중 39점으로 ‘매우 미흡’ 등급을 받았다. 동국제강은 51점, 포스코는 48점으로 ‘미흡’, 세아베스틸이 100점 만점 중 64점을 받아 ‘보통’ 수준이었다. 80점 이상 ‘우수’ 수준을 기록한 기업은 없었다.

기후행동 평가는 책임성(배출량), 효과성(감축률), 효율성(집약도 개선), 적극성(목표 설정), 투명성(정보공개), 업종 특성(전기로 비율·저탄소 설비투자·재생에너지 사용) 등 6개 영역에서 이뤄졌다.

현대제철은 지난 5년간 철강 생산 1톤당 발생하는 배출량인 온실가스 집약도가 1.35tCO₂에서 1.45tCO₂로 7.4% 증가했다. 조강 생산량은 7.6% 감소했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늘었다. 전기로 비율은 2020년 37%에서 2024년 31%로 줄고 고로 비중이 확대된 결과다.

동국제강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15.3% 줄었지만, 이는 생산량 감소(-18%)에 따른 ‘수동적 감축’으로 분석됐다. 반면, 세아베스틸과 포스코는 각각 –5.7%, -3.8%로 집약도 개선을 이뤘으나 국제에너지기구(IEA) 넷제로 시나리오의 권고 감축폭인 -7%에는 미치지 못했다.

철강사의 탈탄소 전환 기술 투자는 일부 진전되고 있으나 속도는 여전히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철강사의 탈탄소 전환 기술 투자는 일부 진전되고 있으나 속도는 여전히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2030 목표도 저강도...SBTi 인증 ‘없음’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4개사 모두 10~12% 수준으로 제시했다. 이는 IEA가 제시한 철강 부문 권고인 ‘2019년 대비 24% 감축’이나 해외 주요 철강사의 목표인 30~40% 감축에는 크게 못 미친다.

예컨대 아르셀로미탈과 티센크루프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30% 감축, 타타스틸 유럽은 30~40%, 일본제철은 2013년 대비 30% 감축을 약속했다.

또한 SSAB, 티센크루프 등 글로벌 철강사는 과학기반감축목표(SBTi) 인증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강화했지만, 국내 4개사 중에선 SBTi 인증 기업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국제강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130만tCO₂로 2018년 대비 21% 줄며 2030년 목표(148만tCO₂)보다 이미 낮았다. 세아베스틸 역시 2022년 이후 3년 연속 목표치보다 적은 배출량을 기록했다. 포스코도 기준 대비 9.5% 감소해 목표(10%) 달성에 근접했다. 그러나 이들 기업 모두 이를 면밀하게 평가하거나 목표 상향 및 후속 감축 계획은 제시하지 않았다.

철강사의 탈탄소 전환 기술 투자는 일부 진전되고 있으나 속도는 여전히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실증을 시작했지만 전기로 신설 계획은 1기에 그쳤다. 현대제철 역시 2030년까지 ‘신 전기로’ 설치를 예고했지만 구체적 일정이 불투명하다.

보고서는 “전기로 등 중간기술에 대한 추가 투자 없이는 단기적 경쟁력 확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고로(용광로) 감축계획이 없는 점도 한계로 꼽혔다.

재생에너지 사용률 0.1%...현대제철 ‘0’

4개사의 지난해 재생에너지 전력 평균 비율은 0.1%에 불과했다. 세아베스틸이 1만 4352MWh를 사용해 0.4%로 가장 높았고, 동국제강은 0.2%, 포스코는 0.01% 수준이었다. 국내 3위 전력 다소비 업체인 현대제철은 재생에너지 조달 실적이 전무했다.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기업은 세아베스틸 한 곳뿐”이라며 “세아베스틸이 2030년까지 100MW의 신재생에너지원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것이 유일했다”고 지적했다.

이지언 기후넥서스 대표는 “철강사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이 부진했던 만큼 탄소중립 이행 체계를 재검검하고 목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온실가스 집약도 목표를 명시하고 매년 실적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동진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은 “전기로 설비와 저탄소 연원료 투자를 확대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저탄소 경쟁력을 확보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며 “정부가 저탄소 철강의 표준 마련과 공공 의무구매 같은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와 기후넥서스, 지속가능발전학회 등은 앞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기업기후행동 시민평가단’을 꾸려 투자자 시각에서 기업의 기후행동을 감시하고 그린워싱을 방지하는 공동평가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