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더현대 서울에서 직원들이 업사이클링 제품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 현대백화점그룹)/뉴스펭귄
현대백화점 더현대 서울에서 직원들이 업사이클링 제품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 현대백화점그룹)/뉴스펭귄

현대백화점그룹이 국내 주요 ESG 평가에서 연이어 높은 성적을 거두며 지속가능경영 선도 기업으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6일 현대백화점그룹에 따르면, 그룹의 주요 상장 계열사 6곳이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인 서스틴베스트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ESG 베스트 기업 100’에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현대홈쇼핑은 2조 원 이상 상장사 부문 1위, 현대백화점은 2위를 차지하며 ESG 경영 성과를 입증했다.

서스틴베스트는 주요 연기금과 자산운용사 등의 의뢰로 매년 국내 상장·비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ESG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자산 규모별 상위 100개 기업을 ‘ESG 베스트 기업’으로 선정한다. 올해 상반기 평가는 1295개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상장사 대부분 ESG 최상위권...“전략적 ESG 협의체 운영 효과”

이번 평가에서 2조 원 이상 상장사 부문에는 현대홈쇼핑, 현대백화점, 현대지에프홀딩스가, 5000억 원 이상~2조 원 미만 부문에는 현대그린푸드, 현대리바트, 한섬이 각각 이름을 올렸다. 특히 현대홈쇼핑은 지난해 3위에서 1위, 현대백화점은 21위에서 2위로 순위가 급상승했다.

지난해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4년 ESG 평가에서도 평가 대상 12개 상장 계열사 중 10곳이 2년 연속 통합 A 등급 이상을 획득했다.

현대백화점, 현대홈쇼핑, 현대이지웰은 최고 등급인 A+ 등급을 받았으며, 현대백화점은 백화점 업계에서 유일하게 2년 연속 A+ 등급을 기록했다. 이밖에 현대지에프홀딩스, 한섬, 현대리바트, 지누스, 현대에버다임, 현대퓨처넷, 현대바이오랜드 등 7개 계열사가 A 등급을 받았다.

그룹에 새롭게 편입된 대원강업과 삼원강재의 ESG 등급도 상향됐다. 2023년 각각 C, B 등급이었던 두 기업은 지난해 모두 B+ 등급으로 상승했다.

서울 강동구 고라시움아파트에 설치된 현대홈쇼핑의 '전자폐기물 자원순환 캠페인' 체험 부스를 아파트 주민이 이용하고 있는 모습. (사진 현대백화점그룹)/뉴스펭귄
서울 강동구 고라시움아파트에 설치된 현대홈쇼핑의 '전자폐기물 자원순환 캠페인' 체험 부스를 아파트 주민이 이용하고 있는 모습. (사진 현대백화점그룹)/뉴스펭귄

고객 참여 캠페인부터 자원순환까지 계열사 특화 ESG 활동 활발

현대백화점그룹은 이러한 ESG 성과의 배경으로 지주회사 중심의 ‘ESG 협의체’ 운영을 들고 있다. 각 계열사의 미흡한 항목을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해 환경·사회·지배구조 전 부문에 실효성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방식이다.

ESG 활동은 각 계열사의 업종 특성에 맞춰 ‘리그린, 위드림’ 슬로건 아래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고객과 함께하는 친환경 캠페인 ‘365 리사이클’을 비롯해 ‘나눔의 일상화’를 주제로 사회공헌을 확대하고 있으며, 한섬은 물류센터에서 나오는 폴리백 폐기물을 리사이클 소재로 가공해 재활용하고 있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ESG는 각 계열사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경영의 중요한 축”이라며 “앞으로도 그룹 차원의 진정성 있는 ESG 경영 방침에 맞춰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경영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