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가 액화천연가스(LNG) 대신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조달하면 산업단지 입주기업 삼성전자가 30조 원 규모의 전기료를 아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용인 국가산단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6기를 건설해 3GW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그린피스와 기후솔루션이 8일 보고서(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재생에너지로 경쟁력을 높이다)를 통해 위와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데이터 모델링 분석 기관 플랜잇에 의뢰해 진행한 연구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보고서는 2030년부터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을 통한 전력 조달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현재 정부가 계획 중인 신규 LNG 발전소를 통한 전력 조달과 비교해 삼성전자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편익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삼성전자가 2030년∼2050년 LNG 발전으로 전력을 조달하면 전기요금으로 153조 230억원을 지출하지만 태양광·해상풍력·ESS(에너지저장장치) 조합을 활용한 PPA(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을 적용하면 최대 30.5조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또 정부 계획대로 산업단지 내 LNG 발전소 6기 건설이 이뤄지면 예상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약 977만 톤에 달한다고 추정하면서 삼성전자의 글로벌 탄소 경쟁력 저하로 이뤄질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임장혁 기후솔루션 에너지시장정책팀 연구원은 “AI칩 제조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가 글로벌 공급망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이로 인해 글로벌 거래 조건이 악화되거나 공급망 탈락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임 연구원은 “정부가 용인 국가산단 인근 지역의 태양광 및 풍력 자원을 적극 개발하고, 이미 진행 중인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국가산단 내 연계를 극대화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ESS 설치를 적극 지원하면, 탄소중립 반도체 클러스터 실현은 충분히 가능하며 삼성전자도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의 에너지원 선택은 단순히 기술적인 전력 조달 방법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산업과 경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대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