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로 대피하는 파키스탄 시민. (사진 Emmanuel Guddo - Concern Worldwide)/뉴스펭귄
홍수로 대피하는 파키스탄 시민. (사진 Emmanuel Guddo - Concern Worldwide)/뉴스펭귄

[뉴스펭귄 이수연 기자] 막대한 온실가스를 내뿜는 선진국들이 2050년까지 기후보상금 약 190조 달러를 저소득국가에 지급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중 한국이 내야 할 기후보상금은 2조7000억 달러다.

영국 리즈대 지속가능성연구소 등 연구진은 선진국들이 기후위기 책임을 인정하기 위해 연간 6조에 달하는 기후지원금을 부담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진이 설계한 '기후보상금' 시스템은 지구의 대기를 모두가 공평하게 나눠쓰는 공유재로 본다. 이러한 전제 아래 국가별로 인구수를 계산해 1인당 배출할 수 있는 탄소예산을 할당한다. 탄소예산이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인류가 배출할 수 있는 탄소량을 말한다.

연구진은 화석연료가 지구 기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시작한 1960년부터 이후 각국이 주어진 몫보다 얼마나 많이 또는 적게 썼는지 측정했다.

그 결과 전세계 168개국 중 67개국이 탄소예산을 초과해 온실가스를 배출했으며, 2050년까지 '1.5℃ 목표'를 지키기 위해 기후보상금을 지급해야 하는 나라에 속했다. 온실가스 초과배출 1위를 기록한 미국이 내야 하는 기후보상금은 80조 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많았다. 뒤이어 러시아, 일본, 독일, 영국 순이었다. 한국은 세계 13위로 2조70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3105조원이었다. 전체 67개국이 내야 할 돈은 192조 달러에 달했다.

(그래픽 이수연 기자)/뉴스펭귄
(그래픽 이수연 기자)/뉴스펭귄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중국 등 101개국은 탄소예산보다 적게 배출해 기후보상금을 받는 나라였다.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이지만 인구가 많아 1인당 배출량이 적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에 참여한 앤드류 패닝(Andrew Fanning)은 "탄소를 과도하게 배출하지 않는데도 탈탄소화를 요구받는 국가들을 보상하는 일은 기후정의"라고 말했다. 또 다른 저자인 제이슨 히켈(Jason Hickel)은 "기후위기는 탄소 식민지화를 명확히 반영한다"며 "기후위기에 거의 가담하지 않은 가난한 국가가 기후재난의 피해를 받는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1월 이집트에서 열린 제27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7)는 저소득국가의 '손실과 피해'가 주요 의제였다. 그러나 저소득국가는 '피해 보상' 측면에서 기후대응 자금을 요구해왔던 반면 선진국은 인도적 차원에서 자금을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