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공청회에서 NDC 65%를 주장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는 모습. (사진 정도영 기자)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공청회에서 NDC 65%를 주장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는 모습. (사진 정도영 기자)

 

“단일 목표치가 아닌 하한 53%, 상한 61%이라는 범위형 감축 목표는 사실상 하한선이 실제 목표치로 작동할 것이며, 53% 감축 목표 수준은 일상화된 기후재난 대응과 기후재난의 최전선에 놓여 있는 이들을 지키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참여연대. 2035 NDC 관련 논평에서.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내연기관차 규제를 도입하고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는데, 우리나라는 아직도 내연기관차 시대에 갇혀 국민 혈세를 쏟고 있다. 정부는 시대에 역행하는 내연기관차 지원을 멈추고 정책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해, 국민도 산업도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홍혜란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수송 부문 탈탄소 관련 보도자료에서.

“생태계의 다채로움을 숫자로 환산하는 일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하지만 신뢰에 기반한 자연자본의 측정과 평가 체계의 확립은 그저 개발을 정당화하기 위한 명분이 아니라, 자연을 사적 자원의 범주로만 인식해 온 관행에 제동을 거는 일이다. 나아가 훼손된 생태를 회복하려는 공동의 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숲과 나눔. 생물다양성 크레딧 관련 뉴스레터에서.

“기후위기(변화)로 북극은 더 이상 하얀색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공간이 됐다. 과학자의 시각으로 이 변화의 핵심을 정확히 읽고 미래 북극 생태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겠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 북극 녹화현상 관련 보도자료에서. 

“이번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새로운 녹색산업 육성의 기회로 활용하여 탈탄소 녹색문명의 선도국가로 거듭나도록 하겠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들이 국제적으로도 탄소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형평성 있는 제도를 운영하겠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2035 NDC 등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후.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