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가 올해 약 4000톤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예정이다. 공정 개선과 설비 교체와 같은 에너지 절감 활동만으로 탄소를 줄인다는 계획이라 눈길을 끈다.
롯데칠성음료는 26일 전력 절감, 폐열 회수, 재생에너지 도입 등 다양한 탄소중립 이행 수단을 활용해 음료·주류 생산공장 탄소 저감이라는 주요 추진과제를 단계적으로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탄소 배출량 감축은 환경 보존과 자원 절약을 목표로 한 ESG 활동의 일환이다.
롯데칠성음료는 2020년부터 실시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통해 전력 절감 시스템인 ‘모터 전력 부하 최적 제어장치(OOPC-M)’를 확대 설치, 공장 내 소모하는 유효 전력량의 15~30%를 절감해 연간 약 1600톤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고 있다.
안성, 대전 공장 등 4곳의 생산공정 과정에서 배출된 고온의 열 에너지원을 회수해 생산 라인에 재활용하는 시스템도 도입했다. 이 같은 폐열 회수 설비를 통해 감축한 연간 탄소 배출량 약 1300톤에 달한다. LNG 연료 1만 톤을 절감한 효과와 맞먹는 수치다.
올 하반기부터는 제조공정 간 화석연료를 줄이고 재생에너지 전환을 늘려 연내 약 900톤의 탄소 배출량을 추가 감축할 예정이다. 지난해 대전광역시, CNCITY에너지와 체결한 ‘탄소중립 그린 파트너십’ 협약의 이행을 위해서다. 아울러 충주, 안성공장에 연말까지 약 200톤의 탄소 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폐열 회수 설비 도입을 준비 중이다.
한편, 롯데칠성음료는 2021년 국내 식음료 업계 최초로 100% 재생에너지 대체를 위한 ‘글로벌 RE100’에 가입했다. 이후 지난해 과학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넷제로에 대한 승인을 받아 2040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앞으로도 기후 변화와 환경 위협 대응을 위해 생산공정 전 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줄이고 탄소중립 실행 모델을 지속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