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해양수산부는 전라남도 무안 갯벌의 습지보호지역을 기존의 함평만 갯벌에서 탄도만 주변까지 넓혀 지정한다고 밝혔다. (사진 해양수산부)/뉴스펭귄
지난 10일 해양수산부는 전라남도 무안 갯벌의 습지보호지역을 기존의 함평만 갯벌에서 탄도만 주변까지 넓혀 지정한다고 밝혔다. (사진 해양수산부)/뉴스펭귄

[뉴스펭귄 이동재 기자] 해양수산부가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등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무안 갯벌의 습지보호지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국제 목표에 다가서기 위해선 습지(갯벌)를 넘어 수심이 깊은 해역까지 더 과감하고 적극적인 보호구역 확대 지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10일 해양수산부는 전라남도 무안 갯벌의 습지보호지역을 기존의 함평만 갯벌에서 탄도만 주변까지 넓혀 지정한다고 밝혔다. 면적으로 보면 42㎢에서 113.34㎢로 확대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확대 지정을 통해 국내 1호 연안 습지 보호지역인 무안 갯벌을 함평만부터 탄도만까지 연결해 보호, 관리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하며, "이번 지정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2단계 등재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가유산청, 무안군과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08년에 람사르습지로 지정되기도 한 무안 갯벌에는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 외에도 혹부리오리, 알락꼬리마도요 등 철새와 흰발농게, 대추귀고둥을 비롯한 저서생물, 칠면초 갯잔디 같은 염생생물이 자리 잡고 살아가고 있다. (사진 )/뉴스펭귄
2008년에 람사르습지로 지정되기도 한 무안 갯벌에는 노랑부리백로 등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뉴스펭귄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꼽히는 무안 갯벌은 높은 생물다양성을 인정 받아 2008년에 람사르습지로도 지정됐다.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 외에도 혹부리오리, 알락꼬리마도요 등 철새와 흰발농게, 대추귀고둥을 비롯한 저서생물, 칠면초 갯잔디 같은 염생생물이 자리 잡고 살아가고 있다.

"갯벌, 연안, 깊은 해역까지 보호구역 확대 필요하다"

(그림 해양환경공단)/뉴스펭귄
(그림 해양환경공단)/뉴스펭귄

시민 사회는 해양수산부의 무안 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 확대 발표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하면서도 "국내 해양보호구역이 갯벌 위주의 보호구역 지정 그 이상으로도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현재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해양보호구역은 주로 습지보호지역에 집중돼 있다"며, "전체 37개소의 해양보호구역 중 18개소가 습지보호지역(갯벌)"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해양 생태계는 높은 강도의 어업 활동, 오염, 개발 등 인간 활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취약한 환경"이라며, "갯벌, 연안, 그리고 더 깊은 해역까지 상호 연결되어 있는 바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해야 기후위기를 완화하고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양보호구역 30%까지 늘려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보호구역 비율은 1.8% 수준으로, 목표인 30%를 달성하기 위해선 급진적인 보호구역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보호구역 비율은 1.8% 수준으로, 목표인 30%를 달성하기 위해선 급진적인 보호구역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국제적으로 합의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더욱 신속한 보호구역 확대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2022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2030년까지 육상 및 해양의 최소 30%를 보호지역으로 보전, 관리하자는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를 채택했다. 

아울러 작년 국제연합(UN)은 2030년까지 공해(公海)를 포함한 전 세계 바다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내용의 국제해양조약에 합의했다.

이에 지난 4월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는 이들을 반영한 해양생물다양성 보전대책을 내놓으면서 2030년까지 1000㎢ 이상의 대형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해 우리나라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설정한다는 목표를 공식화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보호구역 비율은 단 1.8% 수준으로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급진적인 보호구역 확대 정책이 필요하지만, 지난달 해양수산부는 2027년까지 해양보호구역을 현재의 2배 수준인 3%까지 확대하겠다는 사실상 목표에서 멀어진 계획을 발표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해양보호구역 확대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며, 현재 전 지구적으로 시급하고 절대적인 과제"라며, "국가 차원의 해양보호구역 확대 정책은 단발성 조치를 넘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정부에 "지금보다 더 과감하고 실질적인 보호구역 확대와 신속한 정책 전환으로 해양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국제 사회의 2030년 목표를 충실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