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로 무너진 구조물 이미지(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집중호우로 무너진 구조물 이미지(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뉴스펭귄 이수연 기자] 최근 10년간 기후재난으로 경제적 피해가 가장 큰 지역은 '경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4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 

29일 환경 싱크탱크 기후솔루션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행안부에 받은 자료를 분석한 '기후의 역습, 10년간 연도·지역별 기후재난 피해 양상 분석' 보고서를 내고 국내에서 기후재난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집계했다.

그 결과, 지난 2013~2023년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경제적 피해는 15조9177억원에 달했다. 이때 '경제적 피해'는 기후재난 피해액 4.1조원과 복구액 11.8조원을 합산해 집계됐다.

보고서는 복구액이 피해액보다 2.9배 높은 이유로 "기후재난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보다 복구와 재건 비용이 훨씬 크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기후재난 종류에는 호우, 태풍, 폭염, 산불 등이 있는데, 최근 10년간 호우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9.9조원으로 전체 62%를 차지할 만큼 가장 컸다. 기후재난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가장 큰 해는 2020년으로 약 5.5조원에 달했다. 당시 집중호우와 폭염으로 73명이 인명피해를 입기도 했다.

기후솔루션과 모경종 의원실이 분석한 2013~2023 기후재난 피해액. (그래픽 이수연 기자)/뉴스펭귄
기후솔루션과 모경종 의원실이 분석한 2013~2023 기후재난 피해액. (그래픽 이수연 기자)/뉴스펭귄

지역별로는 17개 지방자치단체 중 '경북(3조9000억원)'이 기후재난으로 가장 많은 경제적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2조900억원), 전남(1조9000억원)이 뒤를 이었고 서울은 2266억원으로 10위였다.

특히 기후재난에 따른 1인당 경제적 피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컸다. 인구수 대비 피해가 가장 극심한 5개 도시로 강원, 경북, 전남, 충북, 전북이 꼽혔으며 인구가 가장 많은 서울, 경기, 인천은 17개 시도 중 15위, 12위, 17위로 1인당 피해 규모가 비수도권보다 적었다.

보고서는 지역별로 경제적 피해가 불평등하게 발생한 결과에 대해 "세계 온실가스 70% 이상이 도시민의 생활에서 나올 정도로 인구가 많은 수도권의 책임이 크지만 피해는 비수도권에 더 강하게 미친다"며 "행정안전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과 발전소에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경종 의원은 "행정안전부가 장기적으로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넘어 기후재난이라는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의 기후재난 데이터 관리가 이뤄질 때 기후대응을 본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