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이한 기자] 정부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안정적인 전기와 열을 공급할 액화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소(집단에너지) 사업을 최종 허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러자 환경단체에서는 “탄소중립 목표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8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SK E&S와 한국중부발전이 공동 추진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집단에너지 사업'을 허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집단에너지 시설은 전력 생산과 지역난방 등의 열 공급 설비를 모두 갖춘 발전소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송전탑 등 대규모 송전선로 건설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주로 대규모 산업단지나 신도시를 중심으로 건설돼 있다.
이번 사업 허가에 따라 SK E&S와 중부발전은 집단에너지 사업을 수행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2026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발전소 건설에 착수할 예정이다. 참고로 반도체 생산 공정에는 24시간 항온, 항습을 유지하기 위한 안정적인 열 공급이 필수다.
이런 내용을 두고 환경단체에서는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하는 조치이고 국가 탄소중립 목표와도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정부의 SK LNG 발전소 신규 건설 허가는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에 역행하는 결정이며, 이는 결국 반도체 기업의 수출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는 지난해인 2023년 기존 목표보다 10년 당긴 2040년까지 RE100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일본 구마모토 반도체 공장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들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오히려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양 캠페이너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조속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높은 탄소 배출로 인해 국제 규제와 애플과 같은 고객사 요구에 대응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국내 기업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면서 “한국 반도체 기업이 RE100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2040년 반도체 산업 수출액이 31% 감소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그린피스는 “정부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 이번 신규 건설 계획을 수정하고, 최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COP28에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2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