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박연정 기자] 올 한 해 부상이나 조난으로부터 구조된 야생동물은 얼마나 될까?
환경부는 2023년 전국 17개 야생동물구조센터 등을 통해 야생동물 총 2만408마리를 구조했고, 7321마리를 치료 후 자연으로 방사했다고 28일 밝혔다.
2023년에 구조된 야생동물 개체수는 전년 대비 약 1.2%, 2019년 대비 43.8% 증가했다. 매년 구조된 야생동물 35%가 치료를 통해 다시 자연으로 방사됐으며 이 중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과 2급도 300~400마리씩 포함됐다.
구조 지역은 경기도가 3252마리로 가장 많았고 충남(2469마리)과 서울(1791마리)이 그 뒤를 이었다.
종별로는 모든 시도에서 조류가 1만5915마리로 가장 많았고, 이중 멸종위기종은 914마리였다. 다수가 어미를 잃거나 투명창·방음벽 등에 충돌,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등 사유로 구조됐다.
포유류·파충류 등 타 분류군을 포함한 통계에서도 사고원인이 미아, 충돌, 교통사고, 감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을 개정해 국가기관, 지자체, 공공기관이 야생동물 충돌, 추락 피해 예방을 위해 소관 인공구조물을 설치·관리하도록 했다.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야생동물구조센터 설치, 운영을 계속 확대 지원해 더 많은 야생동물이 구조돼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상이나 조난당한 야생동물 발견 시 해당 시도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환경부는 야생생물법에 따라 2006년부터 전국에 17개 야생동물구조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에 2개소, 국립공원 1개소, 세종과 대구를 제외한 14개 시도에 설치돼 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