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여우는 ‘눈 여우’라는 이름으로도 부르며 북극 툰드라에 산다. 꽁꽁 얼어붙은 그곳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종이지만 기후위기로 인한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북극 여우의 특징과 그들이 처한 위험을 7가지 이야기로 정리했다. 

(사진 그린피스 홈페이지, Jonatan-pie)/뉴스펭귄
(사진 그린피스 홈페이지, Jonatan-pie)/뉴스펭귄

1. 아이슬란드의 유일한 토종 육지 포유류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에 따르면, 북극 여우는 아이슬란드에서는 유일한 토종 육지 포유류다. 주로 툰드라와 해안 지역에 서식하지만, 북극 근처 해빙이나 해발 3000미터 높이에서도 발견된다. 이들은 적응력이 높아 유럽과 아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 아이슬란드의 넓은 북극 툰드라를 누비며 살 수 있다. 북극 여우들은 IUCN 관심필요종으로 분류되지만, 스칸디나비아 지역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2. 강추위에 꼭 맞는 신체 조건

이들은 두꺼운 털과 따뜻한 담요 역할을 하는 덥수룩한 꼬리 덕분에 춥고 얼음이 많은 곳에서도 잘 살아갈 수 있다. 둥글고 아담한 체형에 짧은 다리와 작은 귀를 가지고 있어 열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3. 계절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털

북극 여우는 보통 ‘계절 털갈이’를 한다. 봄이 되면 두꺼운 흰색 겨울 털을 벗고 얇은 털로 갈아입는다. 이 얇은 털의 색깔은 흰색이 아니라 짙은 회색에서 파란색, 또는 붉은 갈색 등으로 다양하다. 털갈이는 기온이 올라가고 눈이 녹기 시작하는 계절에 북극 여우가 주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모든 북극 여우가 털을 바꾸는 것은 아니다. 어떤 여우들은 일 년 내내 짙은 색 털을 유지하며, 색조와 두께만 약간 씩 변한다.

(사진 그린피스 홈페이지, Jonatan-pie)/뉴스펭귄
(사진 그린피스 홈페이지, Jonatan-pie)/뉴스펭귄

4. 독특한 사냥법 ‘눈 매복’

주로 눈 아래에 사는 레밍과 들쥐를 사냥한다. 이를 위해 눈 매복 또는 쥐 잡기라 부르는 사냥 기술을 사용한다. 먼저 예리한 청각을 이용해 눈 밑의 작은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포착한 다음, 먹이를 정확히 찾으면 뛰어올라 머리부터 눈 속으로 뛰어들어 먹이를 잡는다. 이들은 포식자이기도 해서 새나 물고기, 곤충, 열매, 파충류는 물론 다른 작은 동물들까지, 먹을 수 있는 것은 거의 다 먹는다. 

5. 음식 숨겨두거나 북극곰 ‘잔반’도 먹어 

식량이 풍부할 땐 종종 바위 밑이나 틈새, 눈 속에 여분의 먹이를 묻어 숨겨둔다. 먹이가 부족해지는 흉년에 대비하는 전략이다. 겨울에는 북극곰을 따라 해빙 위 먼 거리를 이동하며 북극곰이 남긴 먹이를 찾아 먹기도 한다. 북극곰은 주로 물개의 기름진 지방을 먹고, 북극 여우가 먹을 수 있는 물개의 잔해를 남긴다. 

알라스카에서 레밍을 사냥하고 있는 북극 여우들 (사진 그린피스 홈페이지, Rose Sjölander / 70°)/뉴스펭귄
알라스카에서 레밍을 사냥하고 있는 북극 여우들 (사진 그린피스 홈페이지, Rose Sjölander / 70°)/뉴스펭귄

6. 툰드라 생태계의 건강과 균형 유지 역할

눈을 좋아하는 북극 여우들은 추운 북극 환경에서 생태계를 유지하고 기능하게 하는 데 필수적인 핵심종이다. 레밍 개체수를 조절하고, 배설물과 굴을 파는 행동을 통해 질소와 인과 같은 필수 영양분을 퍼뜨린다. 이는 영양분이 부족한 툰드라 땅에서 식물이 자라나기 쉬워지고, 다시 그 식물들이 초식동물들을 끌어들이는 힘이 된다. 그린피스는 “북극 여우가 사라지면, 툰드라 생태계의 섬세한 균형을 흔들고 무너뜨릴 수도 있는 심각한 연쇄 파급 효과를 불러올 것”이라고 지적한다. 

7. 점점 따듯해지는 북극이 큰 위협

그린피스에 따르면 북극은 지구 평균보다 4배 더 빠른 속도로 가열화 되고 있다. 급격한 기후 위기(기후변화)로 적설량이 감소하고 해빙이 줄어 북극 여우가 먹이와 보금자리를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북극이 따뜻해지면서, 북극 여우보다 더 큰 붉은 여우들이 툰드라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붉은 여우들은 더 크고 튼튼해 상대적으로 작은 북극 여우를 쉽게 제치고 먹이와 굴을 차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북극 여우들이 먹이와 안전한 보금자리를 찾아 더 북쪽으로 이동한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