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한국 기후리더십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탈석탄 시점을 앞당기고 2035년 NDC를 60%이상 높여야 한다는 요구다.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은 19일(현지시각) 이재명 대통령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에게 보낸 공개 서한에서 한국이 국제적 기후 리더십을 입증하려면 탈석탄 시점을 2030년대 초반으로 앞당기고,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최소 60%까지 상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한은 19일(현지시각) 이재명 대통령과 김성환 환경부 장관 앞으로 전달됐다. 고어 전 부통령은 "조기 탈석탄을 위한 명확한 연도와 구체적인 이행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COP30을 앞둔 한국의 정책 결정이 국제사회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조기 탈석탄 계획을 공식화할 경우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에 강력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어 전 부통령은 영국, 아일랜드, 핀란드 등이 이미 석탄발전을 종료했고, 스페인·그리스·이탈리아도 퇴출 일정을 앞두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며, 한국이 기술력과 경제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앞장설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카본트래커(Carbon Tracker Initiative)와 충남대학교 공동 연구를 인용해 "2028년 석탄 퇴출은 기술적·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기후에너지환경부 발족을 선언하며 탄소중립 전환을 핵심 국정 과제로 제시했다. 국회에는 2035년 NDC를 60%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법안이 다수 발의돼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에너지 대전환'을 내세우며 재생에너지 확대와 효율 개선을 통한 국제적 책임을 강조했다. 이번 고어 전 부통령 서한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 정부의 향후 정책 결정에 국제사회의 압박과 기대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는 현재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을 위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진행 중이다. 전문가와 산업계,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이 논의에서 ▲감축률 상향 여부 ▲조기 탈석탄 시점 ▲정의로운 전환 방안 등이 주요 쟁점으로 다뤄지고 있다. 시민사회는 60% 이상 감축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번 고어 전 부통령의 서한은 이러한 국내 논의 과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마침 이재명 대통령은 현재 뉴욕을 방문 중으로, 유엔총회와 함께 열리는 뉴욕 기후주간에서 각국 정상 및 국제 기후 리더들과 교류하고 있다.
고어 전 부통령은 "유엔총회 기간 중 조기 탈석탄을 선언한다면 한국이 청정하고 경쟁력 있는 에너지 미래를 주도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전 세계에 알리는 강력한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