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이한 기자] 한우분뇨 퇴비화 방식을 개선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됐다. 가축분뇨 100톤을 고체 연료로 전환하면 최대 49톤 상당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한우분뇨 퇴비화 방식을 개선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됐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사진 속 장소 등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계없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한우분뇨 퇴비화 방식을 개선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됐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사진 속 장소 등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계없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대규모의 공장식 축산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다. 메탄 등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하다는 목소리다. 이원복 한국채식연합 대표 겸 비건세상을 위한 시민모임(비시모) 대표는 월드워치연구소 자료를 인용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13%가 교통 분야에서 발생하고 51%가 축산업과 육류산업에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축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가 기후에 영향을 미치고 축산업 등을 위해 몇 분 사이에 축구장 크기의 열대우림이 사라진다. 매년 우리나라 크기 열대우림이 사라지는데 이 과정에서 기후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크다”라고 주장했다.

국내에서만 들리는 목소리가 아니다. 미국 작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는 축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책 <우리가 날씨다>에서 “저녁 식사를 제외하고는 동물성 식품을 먹지 말자”고 주장했다. 포어는 책에서 인간들은 키우는 동물에게 먹일 음식을 마련하려고 곡물을 재배할 수 있는 땅의 59%를 이용하고, 사용하는 담수의 3분의 1은 인류가 키우는 동물에게 간다고 주장했다.

“가축 수 계속 늘어날 전망...관련 정책 집중 필요”

이런 가운데 최근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둘러싼 논의가 오갔다. 기후솔루현과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은 지난 달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정책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축산분야 주요 메탄 배출원인 ‘가축분뇨’를 둘러싼 논의가 많이 이뤄졌다.

기후솔루션이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를 인용해 밝힌 바에 따르면 따르면, 우리나라 메탄 총 배출량 중 절반가량(47%)은 농축산업에서 나온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의 최대 80배가 넘는 강력한 지구 온난화 효과를 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2030년까지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18% 감축한다는 내용의 ‘축산분야 2030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전략’을 지난해 1월 발표한 바 있다.

세미나 당시 김중곤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사가 가축분요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효과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김 연구사는 “한우분뇨 기준, 기존 퇴비화 방식을 기계교반식으로 전환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가까이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고 밝혔다. 기계교반식은 기계를 통해 자동으로 퇴비를 뒤집어 주는 방식이다.

김 연구사는 “가축분뇨 100톤을 고체연료로 전환할 경우 36~49톤(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 상당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축분뇨 처리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해 발표 중인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황용우 교수 (사진 기후솔루션)/뉴스펭귄
가축분뇨 처리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해 발표 중인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황용우 교수 (사진 기후솔루션)/뉴스펭귄

이날 세미나에서는 축산분야를 둘러싼 메탄 감축 정책이 확대되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상아 기후솔루현 메탄팀 연구원은 “소와 돼지 등 가축 수가 계속 늘어날 전망”이라고 내다보면서 “장내 발효 및 가축분뇨 처리와 관련된 정책이 집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방식이 정교화될수록 메탄 배출량은 늘어날 것이며, 현재까지 농축산분야에서의 메탄 배출량은 과소평가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표 감축량을 설정하고 구속력을 갖춘 제도를 마련하며, 퇴비화 중심의 현행 감축 수단을 재점검 하는 등의 방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 문대림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갑)은 “농축산 온실가스 감축이 시대적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도 예산도 부족하다는 이유로 미뤄왔다”며 “정책과 예산 과제를 국회에서 제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