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이한 기자] 해상·해안국립공원 갯바위에 낚싯대를 고정하려고 드릴로 구멍을 뚫거나 납을 쓰고 함부로 버려두면 최대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자연을 있는 그대로 즐기고 인간의 흔적을 남기지 말자는 취지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갯바위 보전을 위해 11월 11일부터 행위제한 공고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제한되는 행위는 국립공원 내 갯바위에 구멍을 뚫거나 납을 통해 훼손·오염시키는 행위, 전동드릴 등 훼손도구를 소지하고 갯바위에 입장하는 행위다. 공고 대상지역은 한려해상, 다도해해상, 태안해안, 변산반도 등 4개 해상·해안국립공원이다.
행위제한 위반으로 적발되면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과태료 등 행정적인 뒷받침을 통해 갯바위 현장 관리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1차 위반시 60만 원, 2차 위반시 100만 원, 3차 위반 200만 원이다.
여러 개의 낚싯대를 설치하려고 갯바위에 구멍을 뚫거나 납을 방치하는 행위는 자연 경관을 파괴하고 환경을 오염시킨다. 이는 건전한 해양취미 활동을 저해하는 것을 물론이고 어족자원 고갈 등 해양생태계 교란 및 오염을 가속화한다.
이에 따라 공단은 지난 2021년부터 일부 낚시객에 의한 갯바위 훼손과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도입하고 갯바위 정화, 착한 낚시 활동(캠페인)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왔다.
올해에는 자체 개발한 자연친화적인 갯바위 복원재를 활용해 주민, 관계기관, 자원봉사자와 함께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서도 등에서 갯바위 구멍 900여 개를 복원한 바 있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즐기고 흔적을 남기지 않는 것이 국립공원을 이용하는 가장 바람직한 자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적극적인 정책과 현장 관리로 갯바위 훼손과 오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