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펭귄 이후림 기자]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려는 인류 노력은 효과가 있었을까? 국내 연구진이 북극에서 답을 찾았다.
극지연구소 이강현 박사 연구진은 그린란드 눈에 기록된 납 성분이 10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환경화학학술지 '케모스피어'에 6일 발표했다.
연구는 2017년 그린란드에서 채집한 눈 시료로 북반구 대기에서 배출된 오염물질과 기원지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2012년부터 2017년 사이 쌓인 눈의 평균 납 농도가 단위 그램당 10.6피코그램(pg/g)으로 줄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03년에서 2009년의 평균 21.5pg/g보다 약 49% 감소한 수치다.
납의 동위원소비를 이용하면 납 성분을 배출한 기원지와 각 지역의 비중을 추정할 수 있다. 각 지역에 따라 특정한 납 동위원소비가 유지돼 소위 '지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린란드 눈 납 성분은 대부분 북반구의 다른 지역들에서 날아왔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양에 큰 변화가 확인됐다.
연구진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기간 전후로 추진된 중국의 오염물질 저감 정책 등 효과를 그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린란드 눈 시료에 기록된 납 성분의 기원지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약 36%에서 2010년대 약 23%로 13% 감소했다.
연구진은 "오염물질 기원지와 수송 경로를 추적하는 건 매우 중요하다"며 "동북아시아에서 북극 그린란드까지 날아간 이번 납 성분 사례처럼 대기오염 물질은 종류에 따라 배출지 주변뿐 아니라 수천㎞ 멀리 떨어진 곳에 전달돼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상희 극지연구소 연수연구원은 "그린란드에 쌓인 눈은 대기 성분을 매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적인 규모의 대기 환경변화 조사 연구에서 증거자료로 가치가 높다"며 "앞으로도 극지역 시료를 활용해 오염물질 거동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2008년 전후로 중국은 베이징과 근교에 있는 오염원 배출 공장을 대거 폐쇄하고 공사 현장 작업을 중단시켰다. 또 승용차 홀짝 운행제를 시행하는 등 고강도 오염 저감 조치를 취했다. 이를 두고 '올림픽 블루'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했다. 중국에서 주요 행사가 열리는 동안에만 푸른 하늘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두고 '블루' 앞에 행사명을 붙여 부르는 식이다.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분투하는
뉴스펭귄에 후원으로 힘을 실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