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Unsplash)/뉴스펭귄
(사진 Unsplash)/뉴스펭귄

[뉴스펭귄 이후림 기자] 곤충도 통증을 느낀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영국 런던퀸메리대학교 생물및행동과학 연구진은 곤충이 실제로 고통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는 보고서를 국제학술지 '영국왕립학회보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게재했다.

그간 밝혀진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곤충은 고통을 느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육체적 통증을 겪는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은 탓에 윤리학적 기준이 높아진 동물 실험에서도 곤충만큼은 예외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진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곤충 무통증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곤충 역시 육체적 통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우선 연구진은 동물과 곤충 모두 충격에 반응하는 생리학적 시스템이 있다는 연구결과에 주목했다. 가령 곤충의 경우 다리 한쪽을 자르는 등 충격을 주면 양쪽 다리를 모두 움직이며 신체적 외상에 물리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문제는 이 반응이 육체적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나오는 행동인지, 아니면 뇌를 거치지 않은 반사적 행동인지 여부다.

(사진 Unsplash)/뉴스펭귄
(사진 Unsplash)/뉴스펭귄

이를 밝히기 위해 연구진은 곤충 뇌에 고통과 같은 지각 경험을 가능케하는 신경구조가 있는지 조사했다. 

사람의 경우 응급 상황에서 심각한 통증 반응이 발생하면 뇌에서 이를 자동으로 차단한다. 뇌에서 통증 대응 시스템이 발동하기 때문이다. 뇌는 심한 통증에 대응하기 위해 엔도르핀과 같은 아편 유사 수용체를 만들어낸다. 이 수용체가 늘어날수록 통증에 견디는 힘은 강해진다.

심한 교통사고를 당한 일부 사람들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때까지 자신이 부상을 입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이유다. 이 기능은 고통을 느끼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화한 기능이다.

(사진 Unsplash)/뉴스펭귄
(사진 Unsplash)/뉴스펭귄

연구진은 곤충이 이 같은 수용체를 만들어내지는 않지만 동일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신경전달물질을 생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곤충은 외상성 사건이 일어나는 동안 이 신경전달물질을 계속해서 생성했다. 

신경전달물질이 생성된다는 사실은 곧 곤충도 육체적 통증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연구진 설명이다.

연구진은 "곤충 역시 고통을 다루는 방법에서 인간과 유사한 경로로 진화했을 수 있다"면서 "주관적인 통증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직접적 방법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논문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곤충이 실제로 통증을 느낀다면 곤충 실험을 둘러싼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하루빨리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곤충은 연구와 농업에서 고통스러운 자극을 받기 때문에 윤리적 측면에서 이를 밝혀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