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장된 해수면 상승? 그럼에도 탄소중립인 이유

  • 임병선 기자
  • 2022.04.09 00:00

[뉴스펭귄 임병선 기자] 영화, 서적 등 대중 매체에서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 고층빌딩까지도 바다에 잠기는 연출이 나타난다. 이런 이미지를 접하는 사람들은 기후위기에 대한 공포감이 증가하곤 한다.

하지만 실제적인 기후위기 위협에 대처해야 하는 인류는 공포를 넘어 해수면 상승에 관한 정확한 정보와 대면할 필요가 있다.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해수면은 얼마나 상승할까

뉴스펭귄 기자들은 기후위기와 그로 인한 멸종위기를 막기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정기후원으로 뉴스펭귄 기자들에게 힘을 실어 주세요. 이 기사 후원하기

오리건주립대, 보스턴칼리지 등 공동 연구진이 2016년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한 한 연구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해수면이 50m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긴 하다. 이는 영화처럼 전 세계에 '물난리'가 나기 충분한 수치다. 하지만 그 시기는 적어도 현재로부터 약 2000년 뒤 정도로 예상된다.

해수면 상승은 2100년까지 1.1m 정도 이뤄진다는 예측이 과학계에서 지배적이다. 유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UN IPCC)는 ‘해양 · 빙권 기후변화 특별 보고서(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Special Report)’에서 2100년까지 해수면이 1.1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해수면 상승으로 한반도 5% 잠긴다"?

‘기후위기발 해수면 상승으로 2050년 한반도의 5% 잠긴다’는 이야기도 여러 매체나 인터넷 상에서 유통되고 있다. 이는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2020년 8월 공개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와전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체가 말하는 침수는 태풍과 홍수 등 극한 상황을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결과인데, 몇몇 매체에서는 ‘국토 5%가 영구적으로 잠긴다는 뜻’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린피스가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삼은 것은 기후변화 데이터 전문 단체 클라이밋센트럴(Climate Central)이 내놓은 자료다. 클라이밋센트럴은 미국 해양대기청 NOAA의 모델과,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연구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으로 예상되는 침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실제로 클라이밋센트럴 홈페이지에서 형태로 제작된 ‘해안 위험 분석 도구(Coastal Risk Screening Tool)’ 자료를 보면 수심이 1.1m만 상승해도 인천공항과 인천 청라동이 위험에 처하는 지역으로 표기됐다. 서해에 위치한 충청남도 군산시, 부안군, 김제시와 전라남도 영안 등도 마찬가지다.

(사진 Climate Central)/뉴스펭귄
(사진 Climate Central)/뉴스펭귄

해당 자료는 해수면에서 고도가 1.1m 아래 위치하는 지역을 단순 표기한 자료로,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바다에 잠기는 곳’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린피스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다룬 보도자료에서 '해수면 상승에 연간 10%의 확률로 발생할 수 있는 강력한 태풍이 더해졌을 때’로 조건을 한정하고 있다.

클라이밋센트럴 ‘영구적 침수 지역 자료’와 해양수산부가 제공하는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터’를 참고하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한반도 예상 침수 면적은 5%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클라이밋센트럴이 영구적 침수 지역을 지도에 표기한 ‘위험지역 지도(Risk Zone Map)’ 자료를 보면 해수면이 1m 상승하는 경우 2100년~2150년 사이에 한국의 각 도시에서 극히 일부 구간이 영구 침수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해당 자료는 0.5m 단위로 정보가 제공된다.

(사진 Climate Central)/뉴스펭귄
(사진 Climate Central)/뉴스펭귄
(사진 Climate Central)/뉴스펭귄
(사진 Climate Central)/뉴스펭귄

해양수산부가 한국의 해수면 상승 피해를 예측한 ’해수면상승 시뮬레이터’ 자료를 봐도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계속 배출돼 해수면이 1.1m 상승하면 2100년 기준 침수 인구는 1만 3463명(전 국민 중 0.07%)으로 예측됐다.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된 경우에도 같은 해 기준 37334명으로 전 국민 중 0.01%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해양수산부 해수면상승 시뮬레이터)/뉴스펭귄
(사진 해양수산부 해수면상승 시뮬레이터)/뉴스펭귄

 

그럼에도 해수면 상승 억제 위해 노력이 필요한 이유

때문에 떠도는 말처럼 '국토 5%가 바다에 잠긴다'고 표현하기엔 어렵다. 그럼에도 탄소중립을 통한 해수면 상승 억제는 필요하다. 수천 명이라는 피해 예상 인구가 적은 수치는 아니며, 태풍이라는 극한기후가 나타났을 상황에도 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제적 협력과 인도적 차원에서 생각해도 해수면 상승 억제는 이뤄져야 한다. 콩고민주공화국, 몰디브, 인도네시아 등은 이미 잠기고 있어 침수되지 않는 땅을 찾아 해외로 떠나는 기후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극히 일부만 차지하지만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유엔난민기구(UNHCR) 아시아태평양지부는 기후난민을 매년 평균 2000만 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심지어 이들 국가는 국제사회에서 목소리가 크지 않다. 그래서 국제사회 회의에 편지를 보내고, 물속에서 내각회의를 진행하는 등 파격적인 퍼포먼스를 벌여 전 세계 눈길을 끌어야 하는 실정이다.

서명하는 모하메드 나쉬드 몰디브 전 대통령 (사진 몰디브 정부)/뉴스펭귄
서명하는 모하메드 나쉬드 몰디브 전 대통령 (사진 몰디브 정부)/뉴스펭귄

지금은 당장 몇십 년 뒤 기후위기로 인해 한국이 대부분 잠겨버릴 것이라 절망하고 포기할 때와는 거리가 멀다. 정부, 기업 시민 모두 기후위기 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자세가 필요한 때다.  

뉴스펭귄은 기후위험에 맞서 정의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춘 국내 유일의 기후뉴스입니다. 젊고 패기 넘치는 기후저널리스트들이 기후위기, 지구가열화, 멸종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분투하고 있으며, 그 공로로 다수의 언론상을 수상했습니다.

뉴스펭귄은 억만장자 소유주가 없습니다. 상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일체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금전적 이익이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우리의 뉴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뉴스펭귄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후원을 밑거름으로, 게으르고 미적대는 정치권에 압력을 가하고 기업체들이 기후노력에 투자를 확대하도록 자극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기후위험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데 크게 쓰입니다.

뉴스펭귄을 후원해 주세요. 후원신청에는 1분도 걸리지 않으며 기후솔루션 독립언론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후원하러 가기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