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장 멸종위기종] 가로림만, 멸종위기 수리가 인정한 '맛집'
[뉴스펭귄 임병선 기자] 충청남도 서산시와 태안군에 걸친 가로림만에는 수많은 조류가 찾아온다. 여기에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국제적 멸종위기 조류와 국내 법적 보호종이 다수 포함됐다.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권경숙 사무국장은 매년 가로림만에서 조류 모니터링을 하는 동시에 이곳을 찾은 조류들을 카메라로 포착하고 있다. 그가 사진에 담아낸 맹금류 중에서도 수리과로 분류되는 독수리, 물수리, 흰꼬리수리의 늠름한 면모를 소개한다. 한국을 찾는 수리과는 대부분 겨울에 지내는 철새다.
흰꼬리수리(학명 Haliaeetus albicilla)는 국내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으로 분류됐다. 해안, 호수, 강 하구 등에서 관찰된다. 둥지는 주로 해안가 절벽에 짓는데, 둥지를 한 번 지으면 여러 해에 걸쳐 계속 재사용하는 특성이 있다. 소형 포유류, 조류, 어류 등을 먹는다.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따르면 독수리와 흰꼬리수리 등이 총에 맞아 구조되는 경우가 많다.
독수리(학명 Aegypius monachus)는 한국에 찾아오는 수리 중 가장 크다. 전 세계적으로는 유럽 남부, 중앙아시아, 티베트, 몽골, 중국 북동부에 서식하며 IUCN 적색목록에 준위협(NT, Near Thretened)종으로 분류됐고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다.
독수리는 다른 새나 작은 포유류를 사냥할 것이라는 포식자 이미지가 강하지만, 사냥은 거의 하지 않으며 사체를 먹는 '청소부' 역할을 한다. 집단으로 농약에 중독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야생동물구조센터 등에 의해 구조된다. 하얀색 머리에 노란색 부리를 가진 흰머리수리(Bald Eagle)와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국내에서 독수리라는 명칭은 한국을 찾는 머리에 털이 부족한 새를 부르는 말이다.
물수리(학명 Pandion haliaetus)는 물로 뛰어들어 먹이를 사냥하는 맹금류다. 사냥 후에는 물을 털기 위해 비행하는 상태로 몸을 빠르게 비비 꼰다. 9월과 10월 사이 한국을 찾으며, 극소수가 제주도에서 번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극지방과 사막을 제외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어류를 주로 먹기 때문에 중금속과 화학물질 등 노출 위험이 크다. 1960년대 살충제로 널리 쓰이던 DDT 사용으로 인해 번식에 큰 타격을 입었고,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분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