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금개구리 서식지 절반 개발로 사라질 위기”
인천 내륙 금개구리 서식지 절반 가까이가 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환경단체 주장이 나왔다. 개발 부지에 보호종이 사는 경우 대체서식지로 이주시키고 개발을 이어가는 관행이 야생생물 보호법의 근본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인천녹색연합이 17일 “인천내륙지역 21곳에서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됐는데 확인된 논습지 면적이 절반이 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금개구리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자 인천시 깃대종으로 논습지가 주요 서식지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삼산4지구 도시개발사업’ 부지에서 다수의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됐다. 이 지역은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된 논습지 전체 면적의 16%를 차지한다.
인천시는 지난 10월 ‘삼산4지구 도시개발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을 공개하며 개발을 위한 행정절차를 추진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녹색연합은 이를 두고 “서식지 보전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환경영향평가를 마치고 착공을 앞둔 계양산업단지,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마친 뒤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돼 개발이 추진 중인 인천 에코사이언스파크 부지 등에서도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됐다고 녹색연합은 밝혔다.
이날 녹색연합은 시민과학자 온라인 기록 플랫폼 ‘네이처링’ 자료와 14명 시민의 현장조사를 통해 총 21곳의 서식지를 확인했다고 밝히면서 인천시가 밝힌 자료와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 보도자료에 따르면 인천시 공식자료인 도시생태현황지도에는 7곳으로 파악된다. 단체는 “인천시가 발주한 제한적인 용역조사 결과에만 의존하고, 시민조사나 추가 생태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인천시가 파악하지 못한 깃대종 서식 현황의 공백을 시민과학이 메울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시민과학 데이터를 도시생태현황지도에 반영해 도시개발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보호종의 서식 현황을 미리 인지하고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사무처장은 인천시가 이미 백령도 점박이물범 시민 모니터링 자료를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에 활용한 사례가 있다면서 시민과학 데이터는 정책 수립의 근거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천녹색연합은 금개구리를 대체서식지로 이주시키고 개발을 진행하기 전에 대체서식지의 효과성을 먼저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장아산공원과 심곡천 하류 등의 기존 대체서식지를 최근 조사한 결과 금개구리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개발 부지에 보호종이 서식할 경우 대체서식지로 이주시키고 개발을 진행하는 현재 관행이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근본 취지를 훼손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논습지 보전 방안을 마련하고, 공원형 서식지 관리 지침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