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기후 콕콕] “재생에너지 10% 남짓, OECD 최하 수준”

2025-06-29     이한 기자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재생에너지 관련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국내 전기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10% 남짓으로 OECD 회원국 중에 가장 낮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40% 줄이겠다고 유엔과 국제사회에 약속했지만, 지금 추세대로라면 달성이 불가능하다. 올해는 기존보다 높은 수치의 2035년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공공재생에너지법이 제정된다면 정부와 시민이 힘을 모아 재생에너지 비중을 크게 늘릴 수 있다.”

참여연대. 공공재생에너지법 관련 국민동의청원 기자회견에서.

“둥지를 틀고 있다면 내륙 번식으로는 국내 첫 기록이 될 수 있다. 다만 번식을 포기한 개체가 늦게 이동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울산 연안 생태계가 법정보호종의 실제 서식지로 기능하고 있음에도 해당 지역은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다. 울산시와 울주군 차원의 실효성 있는 생태 보전 조치가 시급하다"

홍승민 짹짹휴게소 대표. 울주군 일대에서 흑비둘기가 관찰된 후.

“그린수소와 재생에너지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그린수소 국산화를 통한 수소환원철의 국내 생산 확대는 한국 수소경제 실현을 촉진해 에너지안보를 강화할 뿐 아니라 신규 인프라건설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기후솔루션. 수소환원제철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초거대 석탄, 석유, 가스 기업들은 자사의 오염 제품이 인류에 끼치는 피해를 수십 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위기 속에서 이윤을 계속 추구하며 수백만 명의 삶과 생계를 파괴하고 있다. 그 피해는 기후위기의 책임이 가장 적은 글로벌 사우스의 여성, 남성, 아이들에게 집중되고 있다.”

아미타브 베하르 옥스팜 인터내셔널 총재. 유엔기후회의 당시 공개한 설문조사에서.

“화석연료 에너지원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전기를 모든 곳에서 사용해야 한“다. 환경부, 그리고 앞으로 기후에너지부의 역할은 한국 기업들이 더 이상 화석연료에 의지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짜는 것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27일 기준) 후보자. 24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