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탈탄소화 숙제...그린수소 해외 의존시 경쟁력 저하 우려“

2025-06-27     이한 기자

“탄소중립 달성과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철강 산업 탈탄소화가 중요한데도 이를 뒷받침할 국내 '그린수소' 조달 전략이 정부 정책에서 빠져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린수소를 국산화할 경우 생산 원가를 최대 38% 낮출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내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하라는 주장이다.

탄소중립 달성과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철강 산업 탈탄소화가 중요한데도 이를 뒷받침할 국내 '그린수소' 조달 전략이 정부 정책에서 빠져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사진 속 장소 등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 클립아트코리아)/뉴스펭귄

기후솔루션이 최근 ‘수소환원제철 국내 정착을 위한 핵심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현행 국가 수소 정책이 산업부문, 특히 철강 산업의 수소 수요와 공급에 대한 로드맵을 담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철강 산업 탈탄소를 위해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활용하려면, 국내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해야 장기적으로 경제성과 공급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한국 철강 산업은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제조업의 핵심 기초소재인 동시에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14~18%를 차지하는 산업 온실가스의 최대 배출원이다.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탈탄소 전환 흐름에 따라 철강 등 산업들은 ‘저탄소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요구받고 있다.

정부도 수소환원제철을 도입해 2050년까지 2018년 대비 철강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85% 감축하겠단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기후솔루션은 “수소환원제철로 탄소 중립을 이루려면 공정에 ‘그린수소(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얻는 수소)’가 사용돼야 하지만 현행 국가 수소 정책은 그린수소 생산 지원 계획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녹색 철강’을 생산하는 데 2050년까지 연간 약 405만 톤의 그린수소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현행 정부 계획에 따라 50~80% 이상 수입해 공급할 경우 공급 불안정성과 고비용 구조에 직면하게 돼, 결국 국내 산업계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수소 조달 방식에 따라 철강 생산비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세 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했다. 그 결과 2050년 기준 철강 1톤당 생산 비용은 수소를 80% 이상 해외에서 조달할 경우(현행) 약 153만 원에 이른다. 하지만 그린수소 생산 인프라의 구축과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로 수소를 전량 국내에서 생산해 조달할 경우(시나리오 3) 약 95만 원 수준으로 38%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 저자인 기후솔루션 철강팀 김다슬 연구원은 “그린수소와 재생에너지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정부가 에너지 자립의 대안으로 주장하는 해외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개발은 점점 심화되는 이상기후와 예측 불가한 국제정치 속에 오히려 에너지 안보를 저해하는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해외 주요국들은 산업용 그린수소 조달을 위한 보조금, 세액공제, 차액계약(CfD) 등 정책적 수단을 도입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티센크루프(Thyssenkrupp)의 수소환원제철 실증 설비를 위한 그린수소 조달에 약 24조 원 규모의 공적 자금을 투입했고,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하에서 그린수소 1kg당 최대 3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과 일본도 수소 가격 안정화를 위한 CfD 제도를 도입하거나 확대하고 있다. 또한 잘츠기터(Salzgitter), 사브(SSAB), 진달스틸그룹(Jindal Steel Group) 등 해외 주요 철강사들은 이러한 수소 생산 지원 정책을 활용해 그린수소 실증 사업과 수소환원제철 개발 사업을 연계해 진행하고 있다.

보고서는 지역 재생에너지 발전과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 실증 사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제주에서 진행 중인 풍력발전 기반 그린수소 생산 사례처럼, 포항 신광 풍력단지에도 실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2026년부터 포항에서 진행 예정인 수소환원제철 기술 사업과 연계하자는 것이다.

보고서 공동 저자인 기후솔루션 권영민 연구원은 “그린수소 국산화를 통한 수소환원철의 국내 생산 확대는 한국 수소경제 실현을 촉진해 에너지안보를 강화할 뿐 아니라 신규 인프라건설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