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장관 후보자 "재생에너지 기반 전기 모든 곳에 써야"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모든 에너지 체계를 바꿔나가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개편의 큰 방향을 잡겠다"고 말했다.
김성환 후보자는 24일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후보자는 지명 소감에 대해 "책임이 매우 무겁다. 기후위기가 심각해지고 있고, 대책을 어떻게 세우느냐가 전 인류의 숙제"라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이 기존의 탄소문명 시대에서 탈탄소 문명 시대로 전환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재생에너지 기반의 새로운 문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화석연료 에너지원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전기를 모든 곳에서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환경부, 그리고 앞으로 기후에너지부의 역할은 한국 기업들이 더 이상 화석연료에 의지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빠른 속도의 탈원전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탈원전은 바로 할 일이 아니다"라며 "재생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쓰고 이미 만들어진 원전은 보조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서 탈탄소 정책을 펴는 것이 에너지 정책의 핵심 기조"라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해서는 "가급적 이른 시일 내 큰 방향을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 국회 및 전문가들과 함께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기후에너지부는 현재 환경부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실을 통합하는 방식과 환경부의 기후탄소정책실과 산업부의 에너지실을 합치는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자는 "지금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드는 시점"이라며 "환경부만이 아니라 모든 부처가 함께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