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다에서 '열대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증거 n가지

  • 임병선 기자
  • 2021.03.29 11:36
(사진 Pixabay)/뉴스펭귄

[뉴스펭귄 임병선 기자] 한반도 바다가 열대와 온대 혼합성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해양수산부는 29일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기후위기로 인한 한국 바다 가열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조사한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당국 자료에 따르면 남해 서부를 제외하고 한반도 바다 해조류 구성이 열대와 온대 혼합성으로 바뀌었다.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김, 우뭇가사리 등 홍조류의 출현 빈도와 종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는 한반도 바다에 점차 열대 바다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증거다.

뉴스펭귄 기자들은 기후위기와 그로 인한 멸종위기를 막기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정기후원으로 뉴스펭귄 기자들에게 힘을 실어 주세요. 이 기사 후원하기

이와 함께 기후위기로 인해 대마난류에 직접 영향을 받는 해역에 출현하는 어류 중 난류종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5년 52%에서 2020년에는 70%로 6년 간 18%p 증가했다. 이는 해양수산부가 문섬, 남형제섬, 왕돌초 등 기후위기 인해 빠른 수온 상승이 예상되는 아열대화 모니터링 지역을 집중 관찰한 결과다.  

해저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의 서식지도 크게 북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라는 2009년~2011년 조사에서는 북위 35도 남해안까지만 서식했으나, 바다가 따듯해지면서 서식지가 북위 37도에 해당하는 울진 부근까지 북상했다. 또 달랑게 서식지는 포항 북구에서 경북 울진까지 약 80km, 기수갈고둥의 경우 경북 울진에서 강원 삼척까지 약 20km 상승했다.

해저에 사는 생물의 서식지 북상 (사진 해양수산부 제공)/뉴스펭귄

이번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에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 해역 서식이 확인된 해양생물은 7619종이라는 사실과 달랑게와 흰발농게, 노랑부리백로 등 해양보호생물의 개체수와 서식지 현황 등도 담겼다.

해양보호생물 출현 지역 현황 (사진 해양수산부 제공)/뉴스펭귄

해양수산부는 해역 별로 서해 눈콩게, 남해 부챗말, 동해 긴꼬리도약옆새우, 대마난류 영향권 삼각따개비 등을 해양생태계 지표종으로 선정하고 이들 생물에서 얻은 정보를 활용해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할 계획이다. 지표종은 각 해역에서 한반도 해양생태계 건강과 다양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생물을 의미한다.

한반도의 극한호우는 지구가열화가 원인이라고 카이스트(KAIST) 연구진이 최근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기후위기는 먼 나라 일이 아니라 바로 우리 곁에서 현재진행형으로 전개되는 급박하고 구체적인 위험입니다.

뉴스펭귄은 기후위험에 맞서 정의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춘 국내 유일의 기후뉴스입니다. 젊고 패기 넘치는 기후저널리스트들이 기후위기, 지구가열화, 멸종위기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분투하고 있으며, 그 공로로 다수의 언론상을 수상했습니다.

다른 많은 언론매체들과 달리 뉴스펭귄은 억만장자 소유주나 주주가 없습니다. 상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일체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금전적 이익이나 자본, 정치적 이해관계가 우리의 뉴스에 영향을 미칠 수 없습니다.

뉴스펭귄이 지속적으로 차별화 된 기후뉴스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후원을 밑거름으로, 게으르고 미적대는 정치권에 압력을 가하고 기후위험을 막는데 힘쓰도록 압박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입니다만, 뉴스펭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기꺼이 후원할 수 있는 분들께 정중하게 요청드립니다. 아무리 작은 금액이라도 여러분의 지원은 기후위험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지키는데 크게 쓰입니다.

가능하다면 매월 뉴스펭귄을 후원해주세요. 단 한 차례 후원이라도 환영합니다. 후원신청에는 1분도 채 걸리지 않으며 기후위험 막기에 전념하는 독립 저널리즘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후원하러 가기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