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바다 탄소순환 원리’ 한국 과학자들이 규명했다

  • 채석원 기자
  • 2019.02.27 14:28

한국 쇄빙선인 아라온호에 장착된 로제트 시료채취기(Rosette sampler)를 이용해 해수를 채취하는 모습 (사진 한국연구재단 제공)/뉴스펭귄

한국 연구진이 남극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저장했다가 방출하는 탄소순환의 원리를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성근 충북대 교수 연구팀이 남극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번성·소멸과 탄소 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 군집의 종류를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해양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흡수)해 온실가스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담당한다. 식물플랑크톤이 1차 생산한 유기물은 해양 표층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돼 이산화탄소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거나 심해저로 운반돼 대기와 격리된다.

뉴스펭귄 기자들은 기후위기와 그로 인한 멸종위기를 막기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정기후원으로 뉴스펭귄 기자들에게 힘을 실어 주세요. 이 기사 후원하기

일반적인 해양은 식물플랑크톤이 1차 생산한 유기물이 심해로 격리되는 비율이 높다. 이와는 달리 남극 해양은 유기물 대부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돼 다시 이산화탄소로 방출되는 특징이 있다. 또 남극 해양은 여름철 기온 변화로 식물플랑크톤의 종류와 활성이 급변하는 까닭에 탄소를 분해하는 미생물 군집도 변화한다. 과학자들은 이 같은 현상이 남극 해양의 미생물의 활동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남극 해양의 저온미생물은 배양이 어려운 까닭에 원인 규명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기존 미생물 배양방법 대신 해양 미생물 군집 전체에서 DNA를 추출해 각각의 미생물 유전체를 재구성하는 메타유전체기술로 서남극 해역의 탄소순환에 관여하는 핵심 미생물의유전체를 재구성했다.

연구팀은 미생물 유전자 발현체를 분석해 식물플랑크톤 번성 시기에 따라 관여하는 핵심 미생물의 종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 미생물 군집의 변화가 여름철 식물플랑크톤이 생성하는 유기물 종류의 변화로 인한 것임을 확인했고, 남극해역 미생물과 이들이 관여하는 탄소순환 원리를 규명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에 지난 21일 게재됐다.

이성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식물플랑크톤이 번성하고 소멸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유기물의 분해에 관련된 미생물의 유전체 및 대사경로를 밝혀 지구의 탄소 순환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이 교수는 남극 해양에서 식물플랑크톤이 고정한 탄소를 심해로 격리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에는 한국 쇄빙선인 아라온호가 크게 기여했다. 이 교수 등은 2010∼2014년 아라온호의 도움으로 세 차례에 걸쳐서 남극해 아문센해역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었다.

뉴스펭귄은 기후위험에 맞서 정의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춘 국내 유일의 기후뉴스입니다. 젊고 패기 넘치는 기후저널리스트들이 기후위기, 지구가열화, 멸종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분투하고 있으며, 그 공로로 다수의 언론상을 수상했습니다.

뉴스펭귄은 억만장자 소유주가 없습니다. 상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일체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금전적 이익이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우리의 뉴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뉴스펭귄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후원을 밑거름으로, 게으르고 미적대는 정치권에 압력을 가하고 기업체들이 기후노력에 투자를 확대하도록 자극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기후위험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데 크게 쓰입니다.

뉴스펭귄을 후원해 주세요. 후원신청에는 1분도 걸리지 않으며 기후솔루션 독립언론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후원하러 가기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