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강우는 실패했지만…대한민국 기상관측 능력 대폭 높아지나

  • 채석원 기자
  • 2019.01.31 17: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지구 대기권 온도측정 정확도 평가기술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진이 독일 기상청(DWD)과 라디오존데 평가 공동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사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뉴스펭귄

기상청은 지난 25일 서해상에서 올 들어 처음으로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했다. 실망스럽게도 인공강우는 결국 실패로 끝났다. 기상청은 비구름 생성 여부를 정밀 분석한 결과 생성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질문 한 가지. 기상청은 하늘까지 직접 올라가지 않고도 비구름이 생성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었을까. 라디오존데 덕분이다.

라디오존데는 기구 풍선에 센서를 매달아 35㎞ 상공에서 고도별 기압·기온·습도·풍향·풍속 등을 관측해 지상으로 자료를 전송하는 관측계다.

뉴스펭귄 기자들은 기후위기와 그로 인한 멸종위기를 막기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정기후원으로 뉴스펭귄 기자들에게 힘을 실어 주세요. 이 기사 후원하기

기상청이 1964년 도입한 라디오존데는 낮은 물론 밤에도 상공의 기상상태를 편리하게 관측할 수 있는 장비다. 기상청은 현재 매일 관측지점 여섯 곳에서 하루 2∼4번 특수 풍선에 라디오존데를 매달아 하늘로 올려 보낸다.

문제는 35㎞ 상공 지점이 지상과 달리 바람과 태양복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까닭에 온도 측정값에 오차가 많다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측정능력 평가가 어렵다는 점이다.

그런데 한국 연구진이 라디오존데의 정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의 고층기상연구팀은 라디오존데 온도 측정능력을 평가해 정확도를 크게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기온, 습도, 기압, 태양복사, 풍속 등 각종 기상요소를 구현하고 정밀 제어하는 고층기상모사시스템을 개발해 라디오존데 측정능력을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대기권 기상을 그대로 모사하는 이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풍속과 태양복사량에 따라 관측계를 정밀하게 보정했다고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최저 영하 70도까지 0.1도 수준까지 상층권 기온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면서 “세계기상기구(WMO)를 비롯해 세계 어느 기관에서도 실현하지 못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고층기상모사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라디오존데 성능 국가표준을 만들고 기상 관측 정확도를 대폭 높이는 것은 물론 신개념 국산 라디오존데를 만드는 것도 가능해졌다고 했다.

뉴스펭귄은 기후위험에 맞서 정의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춘 국내 유일의 기후뉴스입니다. 젊고 패기 넘치는 기후저널리스트들이 기후위기, 지구가열화, 멸종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분투하고 있으며, 그 공로로 다수의 언론상을 수상했습니다.

뉴스펭귄은 억만장자 소유주가 없습니다. 상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일체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금전적 이익이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우리의 뉴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뉴스펭귄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후원을 밑거름으로, 게으르고 미적대는 정치권에 압력을 가하고 기업체들이 기후노력에 투자를 확대하도록 자극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기후위험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데 크게 쓰입니다.

뉴스펭귄을 후원해 주세요. 후원신청에는 1분도 걸리지 않으며 기후솔루션 독립언론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후원하러 가기
저작권자 © 뉴스펭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